Tuesday, August 28, 2012

living Norige;toys flowers for noble able to talk of human language

http://kale.com.ne.kr/history-15.htm

선비들의 노리개로 살았던 ‘말할 줄 아는 꽃들



쪽빛 치마에 노랑 삼회장 저고리를 받쳐 입고, 삼단 같은 머리채를 쪽을 쪄 옥비녀를 꽂고, 장지문을 스르르 열고 다소곳이 고개 숙이고 들어와 나붓이 큰절을 올리고 쟁반에 은구슬 구르는 목소리로 소개를 한다. 불과 40년 전만 해도 가무에 능통한 기녀들을 옥(屋)·각(閣)·루(樓) 등의 옥호를 쓰는 술집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그러한 그녀들이 사라진 지 이미 30년이 넘었다. 우리 전통 사회에서 잔치나 술자리의 흥을 돋우기 위해 제도적으로 존재했던 특수 직업여성, 즉 일종의 사치노예라고 할 수 있는 기녀·기생 또는 ‘말을 할 줄 아는 꽃’이라는 뜻의 해어화(解語花)로 불리던 기녀는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



조선 영조 때의 남인 학자 성호 이익은 그의 저서 <성호사설>에서 기생이 양수척(揚水尺)에서 비롯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양수척은 키나 고리짝을 만들어 팔던 유기장(柳器匠)을 말한다. 이들은 고려가 후백제를 정복할 때 가장 다스리기 어려웠던 집단이었다. 이들 가운데 젊고 용모가 아름다운 여자를 뽑아 가무를 가르쳐 기생을 만들었다고 한다. 또 고대 제정일치 사회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던 무녀가 정교(正敎)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기생으로 전락했다는 견해도 있다.

삼국시대 때는 지방에서 일어난 고구려가 다른 여러 부락의 부족을 정벌하여 자리잡아 갈 때, 피정복 부락의 부녀자가 유녀(遊女)로 전락한 것이 기녀의 시초라고 한다. 고구려 벽화에 남아 있는 무용도는 이러한 유녀를 시사해 주고 있다. 백제에서는 부여성을 방어하는 군단이 배치되었던 곳에 ‘꽃쟁취’라는 유녀가 있었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신라는 화랑제도와 원화(源花)에서 기녀의 근원을 찾아 볼 수 있다. 화랑은 처음에 원화라하여 남모(南毛)와 준정(俊貞) 두 여자를 택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300여 명의 무리를 조직했으나 이들이 서로 질투하는 폐단이 생겨 이를 폐지하고 그 대신 귀족 출신의 청소년 중에서 얼굴이 아름답고 품행이 바른 남자를 뽑아 단장으로 삼았다. 이들 원화는 기생과 같은 것이고, 원화제도가 실시될 때에는 매춘 풍속이 있었다는 설이다.




고려시대에 오면 기녀의 신분이 확실해진다. 기생은 노비와 마찬가지로 한번 기적(妓籍)에 오르면 천민이라는 신분적 굴레를 벗어나지 못했다. 기생과 양반 사이에 태어난 경우일지라도 천자수모법(賤者隨母法)에 따라 아들은 노비, 딸은 기생이 될 수밖에 없었다. 예외로 기생이 양민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속신(贖身)이라 하여 양민 부자나 양반의 소실이 되면 재물로 그 대가를 치러주고 천민 신분을 벗어날 수 있었다. 기생은 대물림이었다. 병들어 제구실을 못하거나 퇴기가 되었을 때 그 딸이나 조카딸을 대신 기방에 들여 놓아야만 했다.

고려시대에는 기생을 교육하기 위한 학교로 교방이 있었다. 중국 당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기생들이 노래와 춤을 익히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들은 궁중연회, 외교사절의 접대를 위한 연회와 팔관회, 연등회 같은 국가적 의식에 참여하기도 했다. 고려시대의 기녀는 교방 및 지방 관청에 속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시대가 흐를수록 개인이 거느린 사기(私妓)도 많이 생겼다. 관청에 속한 기생은 서울에 거주하는 경기(京妓)와 지방에 거주하는 지방기로 나누어졌다.

조선시대에 경기는 장악원에 소속되어 15세부터 음률을 익히고 춤을 배웠다. 개인적으로 재능이 있으면 글씨와 그림도 공부했다. 교육은 엄격했다. 수시로 실력을 점검하여 연주가 신통찮으면 종아리를 맞았고, 소질이 없다 싶으면 고향으로 돌려 보냈다. 기녀들의 철저한 교육이 있었기에 오늘날까지 우리의 전통가락과 춤이 전수될 수 있었다.








이렇듯 기생의 길이 쉽지는 않았지만 그 일생이 마냥 고달프고 그늘진 것만은 아니어서 명기로서 이름을 남긴 기녀들도 많다. 자신의 운명을 곱다라시 받아들여 한 계단 승화시킨 여인들이다. 불후의 시조시인으로 손꼽히는 송도 명기 황진이는 한시에도 뛰어났고, 특히 서경덕과의 일화로도 유명하다.

그런가 하면 전북 부안의 명기 이매창은 허균·이귀 등과 교분이 두터웠고 선비들이 그녀의 시비를 세워 줄 정도로 사랑을 받았다. 그밖에 송이·소춘풍 등이 시조 시인으로 이름을 남겼다. 이들이 국문학사에 끼친 영향 중 가장 큰 것은 고려가요의 전승이다.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짙은 정한의 고려가요는 대부분 그들의 작품으로 보여진다.

풍류는 또 어떤가. 선조 때의 문인 백호 임제와 장안의 명기 한우에 얽힌 시조 화답은 절로 미소를 짓게 만든다.

임제가 장안에서 콧대 세기로 이름난 한우를 찾아가 시조로 수작을 걸었다.

북천이 맑다커늘 우장없이 길을 나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

시조를 들은 한우는 그 자리에서 마음을 열어 놓았다.

어이 얼어 자리 무삼 얼어 자리
원앙침 비취금을 어이 두고 얼어 자리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녹아 자면 어떨꼬

이만한 풍류면 고급스럽지 않은가.

의기 논개는 또 어떤가. 임진왜란 때 진주성이 함락되자 일본 장수의 허리를 깍지낀 손으로 휘어잡아 남강 물 속으로 끌고 들어간 그 용기는 어디에서 생겨났을까. 그의 절의를 이어받은 기생조합 소속 기생들이 기미년 독립만세 때에 전국 각지에서 참여하여 조선 기생의 절개를 드높였다.

민족 항일 시기에는 한말의 기생학교·기생조합이 권번(券番)으로 바뀌었다. 권번은 서울·평양·대구·부산 등 대도시에 있었다. 입학생들에게 교양·예절·일본어 학습을 시켜 청루에 내보냈다. 일부 기생들은 권번의 부당한 화대착취에 대항하여 동맹파업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들에게는 최소한 자기를 지키는 자존심이 있었다.

명월관의 진주 기생 산홍을 친일파 인사가 거금을 주고 소실로 삼으려 하자 산홍이 “기생에게 줄 돈이 있거든 나라를 위해 피흘리는 젊은이에게 주라!”며 단호히 거절한 일화는 몇번을 들어도 신선하다.

[글/최범서]


'詩會의 꽃'에서 뒷골목 매춘까지 '말하는 꽃 기생'


말하는 꽃 기생/가와무라 미나토 지음 유재순 옮김/343 쪽 1 만원 소담출판사

모란꽃이 만발한 정원을 산책하고 있는 당나라 현종에게 신하가 물었다. “어떤 꽃이 가장 아름답습니까?” 당 현종은 “해어화(解語花)”라고 답했다. ‘말을 알아듣는 꽃’이란 뜻의 해어화. 그가 깊게 사랑하는 양귀비를 두고 한 말이었다. 그 후로 해어화는 기생, 기녀의 별칭이 되었다는 얘기.

해어화와 기생. 시(詩) 서(書) 화(畵)를 알고 즐겼다던 과거의 ‘말을 알아듣는 꽃’과 오늘날 우리 머릿속의 ‘기생’은 사뭇 다른 존재로 다가온다. 2002년의 ‘기생’이라는 단어는 차라리 무미건조하다.

입가에 경련을 일으킬 것 같은 고정된 미소와 바삭거리는 한복 또는 치렁치렁한 드레스…. 대도시 어디나 있는 공공연하고도 은밀한 사창가의 모습까지 오버랩된다면 ‘오버’일까. 다른 가지를 뻗어나게 했지만,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인 지배와 종속이라는 뿌리는 과거나 현재나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 아닌가.

호세이대 국제문화학부 교수인 저자는 일제강점기 국학자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1927) 등 여러 역사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문학사적 사회학적 분석을 곁들여 ‘기생’이라는 꽁꽁 묶인 실타래를 풀어간다.

일본인 교수가 쓴 ‘기생 이야기’라, 행여 흥미 위주로 시선을 고정하거나 비하할 수도 있을 거라는 걱정은 접어둬도 좋다. 되도록 편견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서술하려는 노력이 책 곳곳에 스며 있다.

그러나 저자가 미국의 여성 사회학자가 쓴 ‘게이샤’를 보고 부끄러움과 분노를 느꼈던 것처럼, 일본인이 쓴 ‘기생사’를 읽는 한국인인 우리도 그가 겪었던 것과 비슷한 감정을 느끼게 될 듯도 싶다.

문학을 알고 예술을 즐길줄 알았던 역사 속의 '기생(妓生)'. 오늘날 기생이란 단어의 의미는 옛날과는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과거와 현대의 '기생 시스템'은 모두 지배의 한 형태로, 인간이 인간을 속박하는 하나의 제도이자 억압적인 문화에 지나지 않는다.

기생의 기원부터 시대의 흐름에 따른 기생의 여러 역할과 목적, 예술 작품 속에 비친 기생, 기생의 문화까지 일본과 한국을 넘나들며 저자가 꼼꼼하게 다루고 있는 폭넓은 내용을 좇아가다보면 우리 문화, 우리 것에 무지했던, 또 심지어 무시했던 것에 뜨끔해진다.

시기(詩妓) 황진이 소춘풍 등을 비롯해 인생의 길가에 서 있는 존재로서 기생들이 남긴 애절한 문장이 가슴을 울린다. 계생(桂生), 계양(桂孃)이라는 기명을 가지고 있는 이매창의 시조를 보자. ‘내 정령(精靈) 술에 섞여 님의 속에 흘러들어/ 구곡간장을 마디마디 찾아가며/ 날 잊고 님 향한 마음을 다스리려 하노라.’

19세기 중기 방랑시인 김삿갓이 부여의 한 기생과 주고받았던 시를 살펴보면, 상대 기생의 풍류와 시에 대한 ‘내공’도 만만치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김삿갓: 백마강 부근에서 송아지가 음매 음매/기생: 노인산 기슭에서 아이가 터벅터벅/김삿갓: 집을 나온 것은 정월 지금은 삼월/기생: 손님을 만난 것은 초저녁 무렵 지금은 세 시/ 김삿갓: 연못의 부용은 깊게 피어 있어 보이지가 않네/기생: 뜰의 복숭아는 소리 없이 웃고 있네/김삿갓: 지금 초저녁의 즐거움을 무엇에 견줄 수 있을까/기생: 자오산 봉우리의 밝은 달보다 더 즐거운.’

저자는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다시 현대로 돌아와 글을 마무리한다. 매매춘, 윤락행위, 원조교제가 얽혀든 ‘현대 기생’의 얼룩진 거울을 치켜들며.

“‘기생’이 과거의 것이 되어버렸다고는 해도, 그 무언(無言)의 ‘말하는 꽃’들의 역사가 망각된 채로 영원히, 혹은 완전히 잊혀질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집은 손가락에, 일상의 한 부분을 천착해 온 한 일본인의 끈질긴 집념이 배어나왔다. 부분부분 채색된 어느 뒷골목을 천천히 돌아보고 나온 것 같은 느낌이었다

[donga.co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