キハマギク(黄浜菊)
kihamagiku, Buphthalmum salicifolium
java
Sunday, April 29, 2012
Friday, April 27, 2012
the photos by Willard Dickerman around 1904 in Korea
Willard Dickerman
[A young Korean man and a boy]
Cornell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A young Korean man and a boy]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Type: Photographs Description: Both a young man and a boy in identical outfits. They wear echogorie (short jacket) and epajie (trousers). Their epajie are tied with etaenime (ribbon) at the lower ends of the trousers. Both of them have echumonie (wallets), for the safekeeping of cash under their waists. Their shoes are echipsine that are made of straws. Their outfit suggests that they are not from very rich families, but probably belong to the working class.Identifier: 1260.62.08.03 Persistent URI:http://hdl.handle.net/1813.001/5xq0 There are no known U.S. copyright restrictions on this image. The digital file is owned by the Cornell University Library which is making it freely available with the request that, when possible, the Library be credited as its source. We had some help with the geocoding from Web Services by Yahoo!
Women washing laundry in stream]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Women washing laundry in stream]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Women are shown washing laundry in the stream running through a side street.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it was common for women washing laundry in the open. Drinking water, on the other hand, for commoners was supplied mainly from communal wells, except for some 'yangban' (aristocratic) households that had their own. Source: Kim, Chewon. Seoul, 1969. (This Beautiful World ; v. 2)
Identifier: 1260.57.22.01
Persistent URI: http://hdl.handle.net/1813.001/5xkf
kushibo2000 (6 months ago | reply)
I could be wrong, but I think your description may be inaccurate. I don't think this is a street with a stream running through it but the streamed itself. It's possible it could be Ch'ŏnggyech'ŏn (Cheonggyecheon).
Korean boatman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orean boatman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ortraits
Description: Korean sailor takes a break from trasporting cargo and people, sitting under the shadow from the sail, smoking from his long bamboo pipe. He wears cool hemp clothes.
Korean Colonel CAJ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orean Colonel CAJ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Seoul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Three Japanese officials are shown at a king's cemetery site. Kings' cemeteries of the Yi Dynasty were guarded by stone warriors and animals. The custom was presumably introduced into Korea during the Silla period from China. Source: Kim, Chewon. Seoul, 1969. p. 129.
[King Kojong and King Sunjong]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ing Kojong and King Sunjong]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Seoul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King 'Kojong' (left) and his son his heir (the future king)' Sunjong' are shown in full ceremonial dress of the Great Han. This western style attire was begun in 1895 by King Kojong's order. The headwear cannot be traced to any particular (imported) tradition. 'Kojong' ruled from 1864-1907. In late 1895, he and the crown prince, 'Sunjong', fled to the Russian legation after the assasination of Queen Min by the Japanese forces present in Korea. Upon his return in early 1897, 'Kojong' proclaimed the independent 'Great Han Empire' and thus he became Emperor of Korea. Kojong's opposition to the Protectorate treaty was well known as an imperial letter, which condemned the treaty and appealed for intervention from the Hague, was published in the popular Korea Daily News (Taehan Maeil Sinbo). The Japanese used this beligerent act as a pretext to tighten control and forced 'Kojong' to abdicate the throne to his son. In 1907, 'Sunjong' became emperor, but it became clear very quickly that he was actually just a puppet of the Japanese military command. Source: ist-socrates.berkeley.edu/~korea/kojong.html (viewed May 9, 2003) [need more research on headwears]
An ox market in Corea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An ox market in Corea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ostcards/Ephemera
Description: This postcard shows a traditional ox market. Cows or oxen used to be very important (and expensive) assets for farming. Oxen or bullocks were also used in transportion and road works.
[Korean men with sunglasses]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orean men with sunglasses]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Two middle-aged Korean gentlemen walking down the street. They wear a traditional Korean costume, echogorie and epajie with eturumagie that is tied with two long ekorume on the upper part of the coat. Their epajie are tied with etaenime at the lower ends of trousers. Both of them have echumonie, that contains money, under their waists. Their hat, called a ehukripe or commonly a ekate is made out of horsehair. Their shoes are ekomusine. The sunglasses reflect a modern attire among the upper-class Korean gentry.
Korean woman wrapped in cloak]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orean woman wrapped in cloak]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Korean women from the lower class of old Korea wore cloaks over their heads for outing. The cloak is called essugae chimae or changot, which is a coat-style veil. Originally changot was the everyday wear for both kings and commoners. Since the time of King 'Sejo' (1417-1468), however, women began to wear the robe, and it then evolved as a veil for women. The inner and outer collars were symmetrical in shape, while the neckline and sleeve-ends were trimmed with a wide, white bias. The collar, ties and armpits were purple. Source: Kwon, O-chang. Inmurhwaro ponun Choson sidae uri ot, 1998, p. 124.
[Wedding procession]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Wedding procession]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Seoul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Judging from the appearance and colorful outfits, this image probably depicts a wedding procession. A bride is inside a sedan chair and her belongings are carried by a man behind the chair. The chair is called a 'kama'.
[Min Yong-hwan's state funeral procession]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Min Yong-hwan's state funeral procession]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Seoul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Photograph of Min Yong-hwan's state funeral (Dec. 16-18 1905). On this funeral procession, see the web site under 'Letters from Troubled Seoul', under the date Dec. 17, 1905.
[A young Korean man and a boy]
Cornell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A young Korean man and a boy]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Type: Photographs Description: Both a young man and a boy in identical outfits. They wear echogorie (short jacket) and epajie (trousers). Their epajie are tied with etaenime (ribbon) at the lower ends of the trousers. Both of them have echumonie (wallets), for the safekeeping of cash under their waists. Their shoes are echipsine that are made of straws. Their outfit suggests that they are not from very rich families, but probably belong to the working class.Identifier: 1260.62.08.03 Persistent URI:http://hdl.handle.net/1813.001/5xq0 There are no known U.S. copyright restrictions on this image. The digital file is owned by the Cornell University Library which is making it freely available with the request that, when possible, the Library be credited as its source. We had some help with the geocoding from Web Services by Yahoo!
Women washing laundry in stream]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Women washing laundry in stream]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Women are shown washing laundry in the stream running through a side street.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it was common for women washing laundry in the open. Drinking water, on the other hand, for commoners was supplied mainly from communal wells, except for some 'yangban' (aristocratic) households that had their own. Source: Kim, Chewon. Seoul, 1969. (This Beautiful World ; v. 2)
Identifier: 1260.57.22.01
Persistent URI: http://hdl.handle.net/1813.001/5xkf
kushibo2000 (6 months ago | reply)
I could be wrong, but I think your description may be inaccurate. I don't think this is a street with a stream running through it but the streamed itself. It's possible it could be Ch'ŏnggyech'ŏn (Cheonggyecheon).
Korean boatman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orean boatman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ortraits
Description: Korean sailor takes a break from trasporting cargo and people, sitting under the shadow from the sail, smoking from his long bamboo pipe. He wears cool hemp clothes.
Korean Colonel CAJ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orean Colonel CAJ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Seoul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Three Japanese officials are shown at a king's cemetery site. Kings' cemeteries of the Yi Dynasty were guarded by stone warriors and animals. The custom was presumably introduced into Korea during the Silla period from China. Source: Kim, Chewon. Seoul, 1969. p. 129.
[King Kojong and King Sunjong]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ing Kojong and King Sunjong]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Seoul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King 'Kojong' (left) and his son his heir (the future king)' Sunjong' are shown in full ceremonial dress of the Great Han. This western style attire was begun in 1895 by King Kojong's order. The headwear cannot be traced to any particular (imported) tradition. 'Kojong' ruled from 1864-1907. In late 1895, he and the crown prince, 'Sunjong', fled to the Russian legation after the assasination of Queen Min by the Japanese forces present in Korea. Upon his return in early 1897, 'Kojong' proclaimed the independent 'Great Han Empire' and thus he became Emperor of Korea. Kojong's opposition to the Protectorate treaty was well known as an imperial letter, which condemned the treaty and appealed for intervention from the Hague, was published in the popular Korea Daily News (Taehan Maeil Sinbo). The Japanese used this beligerent act as a pretext to tighten control and forced 'Kojong' to abdicate the throne to his son. In 1907, 'Sunjong' became emperor, but it became clear very quickly that he was actually just a puppet of the Japanese military command. Source: ist-socrates.berkeley.edu/~korea/kojong.html (viewed May 9, 2003) [need more research on headwears]
An ox market in Corea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An ox market in Corea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ostcards/Ephemera
Description: This postcard shows a traditional ox market. Cows or oxen used to be very important (and expensive) assets for farming. Oxen or bullocks were also used in transportion and road works.
[Korean men with sunglasses]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orean men with sunglasses]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Two middle-aged Korean gentlemen walking down the street. They wear a traditional Korean costume, echogorie and epajie with eturumagie that is tied with two long ekorume on the upper part of the coat. Their epajie are tied with etaenime at the lower ends of trousers. Both of them have echumonie, that contains money, under their waists. Their hat, called a ehukripe or commonly a ekate is made out of horsehair. Their shoes are ekomusine. The sunglasses reflect a modern attire among the upper-class Korean gentry.
Korean woman wrapped in cloak]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Korean woman wrapped in cloak]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Korean women from the lower class of old Korea wore cloaks over their heads for outing. The cloak is called essugae chimae or changot, which is a coat-style veil. Originally changot was the everyday wear for both kings and commoners. Since the time of King 'Sejo' (1417-1468), however, women began to wear the robe, and it then evolved as a veil for women. The inner and outer collars were symmetrical in shape, while the neckline and sleeve-ends were trimmed with a wide, white bias. The collar, ties and armpits were purple. Source: Kwon, O-chang. Inmurhwaro ponun Choson sidae uri ot, 1998, p. 124.
[Wedding procession]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Wedding procession]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Seoul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Judging from the appearance and colorful outfits, this image probably depicts a wedding procession. A bride is inside a sedan chair and her belongings are carried by a man behind the chair. The chair is called a 'kama'.
[Min Yong-hwan's state funeral procession]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Title: [Min Yong-hwan's state funeral procession]
Date: ca. 1904
Place: Asia: South Korea; Seoul
Type: Photographs
Description: Photograph of Min Yong-hwan's state funeral (Dec. 16-18 1905). On this funeral procession, see the web site under 'Letters from Troubled Seoul', under the date Dec. 17, 1905.
Thursday, April 26, 2012
Korean issue that korean massacre in Kanto earthquake in 1923 was true
注意!残酷な写真が多数ありますので、気分を害されそうなかたは見ないで下さい。
caution!caution!!
this article is contained some inhumane pictures!!
don't watch if you are not 20 years old nor less.
http://blog.daum.net/ks1471/7136332
관동대지진 [關東大地震]
1923년에 일본 관동(關東) 지방에서 큰 지진이 발생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로 일본 내의 민심이 흉흉하였고 사회 불안이 만연하였다. 이때 일본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인 비난에서 벗어나고자,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킨다."", ""조선인이 일본인을 죽이기 위해 우물에 독약을 넣었다.""는 등 조선인이 이 혼란한 상황을 이용하여 일본인들을 죽이려 한다는 유언비어를 고의적으로 퍼뜨리며 일본의 악화된 민심을 한국인 탓으로 돌리려고 하였다.
그로 인해 격분하게 된 일본인들에 의해 적어도 6000여 명 이상의 우리 동포들이 대학살 당하는 대참사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때 일본 정부와 언론은 오히려 이러한 상황을 더욱 선동하고 방조함으로써 우리 동포의 피해는 더욱 커지게 되었다. 출처: 시사상식사전
관동대학살 [關東大虐殺]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때 일본관헌과 자경단(自警團)이 한국인과 일본인 사회주의자를 학살한 사건.
계엄령이 선포된 도쿄[東京]·가나가와 현[神奈川縣]·사이타마 현[埼玉縣]·지바 현[千葉縣] 등지에서 한국인이 폭동을 일으켰다는 유언비어를 고의로 퍼뜨려 민족배외주의를 자극, 수천 명의 무고한 인명을 앗아갔다.
당시 일본은 노동자계급의 성장, 쌀소동, 일본공산당의 성립에 따른 계급투쟁의 격화와 활발해지는 한국·중국의 민족해방운동에 직면하여 한국인과 사회주의자를 탄압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이때 일어난 대지진으로 인한 사회혼란은 탄압의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일본 경시청은 정부에 출병을 요청했고, 내무대신 미즈노[水野鍊太郞:전조선총독부 정무총감], 경시총감 아카이케[赤池濃:전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등은 2일 도쿄·가나가와 현의 각 경찰서와 경비대로 하여금 한국인 폭동의 유언비어를 퍼뜨리도록 했다.
한편 2~3일 사이에 지방장관에게 "한국인이 각지에 방화하고 불령(不逞)의 목적을 수행하려 한다. 한국인의 행동을 엄밀하게 단속할 것"을 지시하는 전문을 보냈다.
도쿄·가나가와 현·사이타마 현·지바 현에 계엄령이 선포되고, 5일에는 '조선문제에 관한 협정'이라는 것을 극비리에 결정하여 한국인 폭동을 사실로 조작하기 위해 광분했다. 7일에는 치안유지령을 긴급칙령으로 공포했다. 계엄령 아래에서 군대·경찰과 각지에 조직된 자경단에 의해 한국인과 사회주의자가 수없이 학살되었는데,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신문〉 특파원이 조사·보고한 바에 따르면 6,661명이 피살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정부는 10월 20일 학살사건의 보도금지를 해제했지만, 군대·관헌의 학살을 숨기고 자경단에게 그 책임을 전가시켜 재판에 회부했다. 그러나 자경단원은 증거 불충분으로 모두 석방되었다. 출처: 브리태니커
지진현장을 시찰하는 일왕 히러히포
간토 대지진 [간토 대진재, 관동대진재, 관동대지진]
간토 대지진(일본어: 関東大震災) 또는 관동대지진(關東大地震)은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에 일본제국 사가미 만을 진앙지로 발생했던 큰 지진이다. 1855년에도 대지진이 있었으나 보통 간토 대지진은 이때를 말한다.
경과
간토 지진은 5분 간격으로 발생한 세 차례의 지진이다. 최초에 발생한 M 7.8[1]의 진원은 거의 동시에 11시 58분에 오다와라와 미우라 반도의 지하에서 약 15초 간 일어났다. 계속하여 M 7.3의 첫 번째 여진이 12시 1분에 일어나고, 두 번째 M 7.2의 여진이 12시 3분에 발생하였다.
이 세개의 지진은 모두 약 5분이상 계속되었다. 지진 후 간토 지역은 총체적인 혼란에 빠졌다. 정부 조직이 마비되었으며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간토대지진이 일어난 시간은 11시 58분은 점심시간이 임박한 시간이었기 때문에, 이날 도쿄를 비롯한 지진피해지역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였다.
점심을 준비하기 위해 각 가정집과 요식업소에서 불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지진이 발생하면서 불이 대부분 목재건물인 피해지역 건물들을 불태우며 널리 퍼져나간 것이다.
1923년 9월 10일자 매일신보.
신문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들이 폭동을 조장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글로 전면을 다루고 있다.
1923년 도쿄 일원의 간토 지방은 지진으로 인하여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고, 흉흉해진 민심 덕분에 일반인들 사이에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불신이 싹트는 가운데, 내무성은 계엄령을 선포하였고, 각 지역의 경찰서에 지역의 치안유지에 최선을 다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런데, 이때 내무성이 각 경찰서에 하달한 내용중에 "재난을 틈타 이득을 취하려는 무리들이 있다. 조선인들이 방화와 폭탄에 의한 테러, 강도 등을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라는 내용이 있었다. 이 내용은 일부 신문에 보도되었고 보도내용에 의해 더욱더 내용이 과격해진 유언비어들이 신문에 다시 실림으로서 "조선인들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에 독을 풀고 방화약탈을 하며 일본인들을 습격하고 있다" 라는 헛소문이 각지에 나돌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지진으로 인하여 물 공급이 끊긴 상태였고, 목조 건물이 대부분인 일본의 특징때문에 일본인들은 화재를 굉장히 두려워 하였으므로, 이러한 소문은 진위여부를 떠나 일본 민간인들에게 조선인에 대한 강렬한 적개심을 유발하였다.
이에 곳곳에서 민간인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불시검문을 하면서 조선인으로 확인되면 가차없이 살해하는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죽창이나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하였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하였다.
우선 조선식 복장을 한 이는 바로 살해당하였으며, 학살 사실을 알고 신분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복장을 한 조선인들을 식별해 내기 위해서 조선인에게 어려운 일본어 발음(한국어에 없는 어두유성음 및 종종 정확하게 발음되지 않는 장음 발음(撥音)등으로 이루어진) 「十五円五十銭」(じゅうごえんごじっせん)을 시켜보아 발음이 이상하면 바로 살해하였다.
이 때, 조선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류큐인, 외자 성을 강제당해 조선인으로 오인받은 아마미 제도 출신, 지방에서 도쿄로 와 살고 있었던 지방의 일본인(특히 도호쿠 출신)들도 발음상의 차이로 조선인으로 오인받고 살해당하는 등, 자경단의 광기는 상상을 초월할만큼 잔악했다.
일부 조선인들은 학살을 피해 경찰서 유치장으로까지 피신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경찰서 안까지 쳐들어와 끄집어 내어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경찰은 학살사실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였으며, 오히려 조선인을 조직원으로 받아들이고 있던 야쿠자 등 비공권력 범죄 집단의 일부가 조선인을 숨겨주는 일이 있었다.
조선인 학살과 더불어 사회주의자, 아나키스트, 인권운동가, 반정부 행위자 등으로 경찰에 요주인물로 등록되어 있던, 주로 좌파 계열의 운동가에 대한 학살 사건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치안 당국은 "조선인들이 폭동을 저지르려고 한다"는 소문이 헛소문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혼란 수습과 질서 회복의 명분하에 자경단의 난행을 수수방관하였고, 일부는 가담, 조장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점차 자경단의 만행이 도를 넘어서 공권력을 위협할 정도가 되어, 그제서야 개입하였으나, 이미 수많은 조선인들이 학살당한 후였다.
자경단의 살상 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으며, 상당수는 암매장되었다. 학살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에는 도쿄에 흐르는 스미다 강과 아라카와 강은 시체의 피로 인해 핏빛으로 물들었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최종적으로 유언비어를 공식확인하였으나, 피해자의 수를 축소 발표하고, 자경단 일부를 연행,조사하였으나, 형식상의 조치에 불과하였으며, 기소된 사람들도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무죄 방면되었다. 학살 사건으로 인한 사법적 책임 또는 도의적 책임을 진 사람이나 기구는 전혀 없었다.
일본인 요시노 사쿠조는 그의 저서 『압박과 학살』에서 2534명으로, 김승학은 『한국독립운동사』에 피해자가 6066명이라고 적었지만, 그에 비해 당시 일본정부의 추산은 233명이었다.
피해
리히터 규모 7.9에서 8.4 사이로 추정되며 4 ~ 10분 정도 지속되었다. 도쿄 지역과 요코하마 지역, 지바 현, 가나가와 현, 시즈오카 현 등에서 10만 명에서 14만 2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 3만 7천 명이 실종되었다. 10만 9천여 채의 건물이 전부 파괴되고 10만 2천여 채는 반파 되었다.
복구
지진 이후 수도를 이전하자는 주장이 잠시 대두되었다. 히메지나 경성이 거론되기도 하였다. 복구를 하면서 현재의 도쿄의 기틀을 구성하는 도로와 철도 그리고 공원등이 계획되어 보다 근대적 모습으로 도시가 재건되었다.
특히 공원은 이후 있을지 모르는 대지진의 피난처 구실을 하게끔 만들어졌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다시 파괴되는 경험을 겪게 된다.
간토 대지진은 일본이 안전한 땅이 아니라는 인식을 일본인에게 영원히 심어 주었고 이러한 불안이 이후 적극적으로 중국을 침략 지배하겠다는 일본 제국주의를 키운 한 원인이 되었다.(한국은 이미 침략해 식민지를 만들었음으로 여기서 기술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사건은 일본의 안전 불감증의 심각함을 잘 드러내는 사건이 되었다.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간토 조선인 학살사건, 관동 조선인 학살, 관동 조선인 학살사건]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關東大地震 朝鮮人 虐殺事件, 간단히 관동 대학살)은 간토 대지진(1923년) 당시 혼란의 와중에서 일본 민간인과 군경에 의하여 무차별적으로 자행된 조선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대대적인 학살 사건이다. 희생자 수는 약 6,000명[1] 혹은 6,600명[2]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건의 배경
1923년 9월 10일자 매일신보. 신문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들이 폭동을 조장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글로 전면을 다루고 있다.
1923년 도쿄 일원의 간토 지방은 지진으로 인하여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고, 민심과 사회질서가 대단히 혼란스런 상황이었다. 일반인들 사이에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불신이 싹트는 가운데, 내무성은 계엄령을 선포하였고, 각 지역의 경찰서에 지역의 치안유지에 최선을 다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런데 이때 내무성이 각 경찰서에 하달한 내용 중에 “재난을 틈타 이득을 취하려는 무리들이 있다. 조선인들이 방화와 폭탄에 의한 테러, 강도 등을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라는 내용이 있었다.
이 내용은 일부 신문에 사실확인도 없이 보도되었고, 보도 내용에 의해 더욱 더 내용이 과격해진 유언비어들이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등 여러 신문에 다시 실림으로써 “조선인(또한 중국인)들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에 독을 풀고 방화·약탈을 하며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라는 거짓소문이 각지에 나돌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지진으로 인하여 물 공급이 끊긴 상태였고, 목조 건물이 대부분인 일본인은 화재를 굉장히 두려워 하였으므로, 이러한 소문은 진위 여부를 떠나 일본 민간인에게 조선인이나 중국인에 대한 강렬한 적개심을 유발하였다.
일본인들의 조선인 학살
이에 곳곳에서 일본인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불심검문을 하면서 조선인이나 중국인으로 확인되면 가차없이 살해하는 만행을 저지르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죽창이나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하였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하였다.
우선 조선식이나 중국식 복장을 한 이는 바로 살해당하였으며, 학살 사실을 알고 신분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복장을 한 조선인이나 중국인, 타지역 출신을 식별해 내기 위해서 외국인에게 어려운 일본어 발음(한국어에 없는 어두유성음 및 종종 정확하게 발음되지 않는 장음 발음(撥音) 등으로 이루어진) “十五円五十銭”(じゅうごえんごじっせん)을 시켜보아 발음이 이상하면 바로 살해하였다.
이때, 조선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류큐인, 외자 성을 강제당해 조선인으로 오인받은 아마미 제도 출신, 지방에서 도쿄로 와 살고 있던 지방의 일본인(특히 도호쿠, 고신에쓰, 홋카이도 출신), 미국, 영국 등 서양 출신으로 도쿄에 온 기자들도 발음상의 차이로 조선인으로 오인받고 살해당하는 등, 자경단의 광기는 상상을 초월하였다.
일부 조선인들은 학살을 피해 경찰서 유치장으로까지 피신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자경단이 경찰서 안까지 쳐들어와 끄집어 내어 학살하였다.
외국인이나 타 지역 사람들이 도쿄에 가는 것은 곧 죽음을 뜻했다. 경찰은 살인을 보고서도 방관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였으며, 오히려 조선인을 조직원으로 받아들이고 있던 야쿠자등 비공권력 범죄 집단의 일부가 조선인을 숨겨주는 일이 있었다.
조선인 학살과 더불어 사회주의자, 아나키스트, 인권운동가, 반정부 행위자 등으로 경찰에 요주의 인물로 등록되어 있던, 주로 좌파 계열의 운동가에 대한 학살사건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일본 치안당국의 학살묵인
치안 당국은 루머상의 “조선인 폭동”이 없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혼란 수습과 질서 회복의 명분하에 자경단의 만행을 수수방관하였고, 일부는 가담하거나 조장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점차 자경단의 만행이 도를 넘어서 공권력을 위협할 정도가 되자, 그제야 개입하였으나, 이미 수많은 조선인이 학살당한 후였다.
자경단의 살상 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으며, 상당수는 암매장되었다.
작두로 조선인을 살해하는 장면
학살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에는 도쿄에 흐르는 스미다가와와 아라카와의 두 강이 흘러 다니는 시체로 인해 피바다로 물들었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최종적으로 유언비어를 공식 확인하였으나, 피해자의 수를 줄여서 발표하고, 자경단 일부를 연행·조사하였으나, 형식상의 조치에 불과하였으며, 기소된 사람들도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무죄 방면되었다.
학살 사건으로 인한 사법적인 책임또는 도의적인 책임을 진 사람이나 기구는 전혀 없었다. 이로서 악성 루머가 얼마나 끔찍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잘 드러나게 되었다.
관련 사실
당시의 일본 당국은 지진 발생 얼마 전에 조선의 3.1운동과 식민지였던 대만에서 수천 명의 사상자를 낳은 대규모 봉기를 유혈 진압하면서 민중의 저항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되었다. 지진 당시, 치안을 맡은 최고 책임자들은 주로 대만 총독부에서 일하던 관료 및 군인 출신이었다. 또한 일본 본국에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인하여 노동운동, 민권운동, 여성운동 등 지배 권력에 대한 민중의 저항과 권리찾기 운동이 활발하던 시기였다.
↑ 왼쪽 _ 관동대지진 당시 일본 경찰 및 자경단의 조선인 학살.
일본 치안당국은 터무니없는 유언비어를 만들어 각 신문사로 보냈다.
이러한 분위기를 사회적 혼란 또는 일본제국의 위기으로 판단한 이들은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인 지진을 기화로 조선인을 희생양 삼아, 질서를 유지할 목적으로 “조선인 폭동설”을 날조하였다.[3] 사건 이후, 일본 당국은 이 사실이 알려질 경우, 조선에서 다시 대규모 반발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한동안 일본 내 조선인의 입국을 금지시켰다.
또한 초기 발표를 하면서 조선인 사상자의 수는 불과 2~3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할 정도로 일본 정부는 사건을 숨기는데 급급하였다.
조선인 학살사건과 관련된 일본의 저명인
저명한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와 그의 6살짜리 조카 다치바나 소이치, 페미니스트 사회주의자이자 오스기의 아내인 이토 노에가 아마카스 마사히코 중위가 이끄는 군경에 체포되어 죽을 때까지 구타당한뒤, 우물에 유기된 아마카스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간토 대지진후의 사회적 패닉상태를 일본 전국에 널리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조선인 학살사건도 이 사건을 통해 알려졌다.
일본 영화계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구로사와 아키라(黒澤明)는 대지진 후의 혼란기를 소년기에 직접체험하여, 당시 억울하게 희생된 조선인과 자경단의 광기, 유언비어 등에 대하여 상세히 증언하는 유명인의 한 사람이다.
한편, 일본의 소설가이며,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 중 하나인 아쿠타가와 상으로 유명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자경단으로 활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사람의 길]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진상 규명을 위하여
기억하지 않은 역사는 되풀이된다.http://zine.media.daum.net/weeklykh/view.html?cateid=3000&newsid=20080925113920500&p=weeklykh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도쿄, 카나가와, 치바, 사이타마, 시즈오카, 야마나시, 이바라키의 1부 6현에 강도 7.9의 대진재가 일어났다. 화재도 일어나 사망자 9만9331명, 행방불명 4만3476명, 가옥 전괴 12만8266호, 반괴 12만6233호, 소실 44만7128호에 달했다.
극도로 혼란해진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으로 일본 정부는 9월 2일 제국헌법 8조가 정하는 긴급칙령에 의해 계엄령을 선포했다.
지진과 화재가 일어나는 와중에 약탈과 방화, 우물에 독극물을 넣는 등의 불령스러운 행동을 하는 자들이 있어 재난을 당한 이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명목이었지만 이것은 일본 정부의 매우 치밀한 계획 속에 펼쳐지게 될 대학살의 지침이었다.
-2007년 9월 1일, 대한민국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유기홍 의원 기자회견 중에서 1923년 일본 정부는 관동지방에서 일어난 대지진 당시 터무니없는 유언비어를 유포하여 재일조선인 6661명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당시 일본 정부는 두 가지 사실을 몹시 두려워했다. 그것은 조선에서 일어난 3·1운동의 영향과 그후 조선을 넘어 중국·일본으로 번져가는 조선인의 해방운동이었으며, 또 하나는 재일조선인 사회주의자 및 노동자가 일본 사회주의자 및 노동자와 연대하려는 움직임이었다.
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일본 정부는 대지진의 혼란 속에서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고 하여 계엄령을 포고한 결과, 군대와 경찰뿐 아니라 민족적 편견을 가진 일본 민중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조선인 학살에 합세했다.
그러나 조선인 폭동은 없었다. 그런데도 일본은 조선인 학살의 역사적 사실을 은폐하고 그 흔적을 없애기 위한 작업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했을 뿐 아니라 도리어 피해 당사자인 조선인들에게 학살의 원인 제공자로 누명을 씌웠다.
한편, 한국 정부는 해방 후 63년이 지나도록 일본 정부를 향해 재일동포의 인권유린과 학살에 대한 그 어떤 진상조사 요구도 하지 않았다.
지난 9월 7일, 서울 향린교회에서는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사건 85주년을 맞아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을 위한 한·일·재일 시민연대(공동대표: 강덕상, 야마다 쇼지, 서굉일) 주최로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추도식을 열었다.
8월 9일, 재일본 한국YMCA에서 있은 '동대진재 85주년 조선인 희생자 추도 심포지엄'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로 열리는 추도행사였다.
이날 추도식에는 관동대지진 다큐멘터리 '아아! 관동대진재(SBS 제작)' 상영에 이어 추도 예배가 있었지만, 원래 계획한 유가족의 증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목포에 살고 있으면서 관동대지진 당시 일본에 있던 일가친척 5명 중 4명을 잃은 김대원(82)씨가 증언을 약속했으나 고령에다 건강이 좋지 않아 끝내 상경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시민연대의 한국상임대표로 있는 아힘나운동본부 김종수(45) 목사의 아쉬움은 컸다.
그가 관동대지진 문제를 처음 접한 것은 작년 아힘나(아이들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나라, 뉴스메이커 780호)의 일본 교류 캠프 때였다.
당시 아힘나는 일본에서 여러 가지 학습활동을 펼쳤는데, 그 중 재일한국인의 역사를 아이들이 직접 조사하기로 한 것을 계기로 '관동대지진사건'에 대한 생생한 증언과 사진, 고려박물관의 패널들을 접하게 되면서 그는 큰 충격과 함께 심한 분노에 휩싸였다.
그동안 이런 사실을 역사에 묻어놓고 왔던 데 대한 죄책감도 일었다. 그는 이 사건의 진실을 제대로 규명하고 또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죽은 이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특별법안을 만들고, 국제적인 조사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함께 힘을 쏟은 결과, 2007년 9월에는 대한민국 국회 유기홍 의원의 기자회견이 있었고, 그해 11월 7일, 일본 도쿄에서 마침내 한·일·재일 시민연대가 출범한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진상규명을 위한 자료와 증언이 절실했다.
▶ 화가 가야하라하쿠도(萱原白洞, 본명은 다케오(竹尾) 후에 黃丘로 개명)의 총 11.5m 관동대지진 묘사
두루마리그림 중 칼과 죽창 곤봉을 든 자경단의 조선인 학살 장면
그런 가운데 김대원씨와 만남은 마치 예정해놓은 어떤 길과도 같았다.
1년 전쯤, 시모노세키에 사는 평화운동가 쿠와노 야스오는 김 목사가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친구인 조건치(재일동포 2세)씨를 소개해주었다.
야스오는 작년 국회 행사 때 조씨와 함께 직접 한국으로 왔다. 조씨는 일본으로 돌아가면서 그에게 관동대지진 문제는 유가족을 만나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며, 자신이 유가족 한 분을 알고 있으니 찾아가 보라고 연락처를 주었다. 그 사람이 바로 김대원씨였다.
그는 연락처를 받고 몇 차례 전화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아 옛 주소려니 생각하고 한동안 연락을 접고 있었다.
그러다가 8월 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심포지엄을 앞두고 혹시나 싶어 연락을 취했는데 용케도 연결이 되었다. 처음 연락했을 당시엔 몸이 많이 편찮아 병원을 오고갔던 모양이어서 제대로 연결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연락이 닿은 후 김 목사는 7월 말께 김씨를 만나러 목포로 달려갔다. 김씨는 관동대지진 때 일본에 있던 일가친척 중 유일하게 살아 돌아온 큰아버지뻘 되는 고(故) 김동진씨에게서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 뒤엔 내가 이 일은 나 혼자만이라도 해야 쓰겄다. 왜냐하면 한국에서 뭐냐, 그러면 돌아가신 양반들의 영을 위해서 너무 불쌍하잖아. 창으로 찔러서 죽이고 톱으로 썰어서 죽이고 이런 짓거리를 했단 말입니다.
그 사람들이 사람들을 그렇게 죽였어. …일본말로 말하면 가라묘시벤인지, 그렁께 헛묘여. 그러고서 옷을 묻어주고, 무엇을 묻어주고. 고향에 헛묘를 만들어서 관동대지진 때 돌아가신 양반들, 유족들 한번 나와 봐라. 우리 요런 일이라도 한번 해보자. 그런데 나오는 사람들이 하나도 없어.
하도 오래 되어서. 그래서 우리 집안 사람들이라도, 내가 위해서라도 해야 쓰겄다. …그 당시에 내가 이것을 하나 뜯었어(뗐어). 이것이 구호적부입니다.
옛날에 말하던 호적입니다. 지금은 이렇게 나오지만, 호적보가 대적보라고 하는 것인데, 여기를 쭉 봤어요. 쭈욱 보니깐 대정이라고 써있네. 대정 몇 년, 그렇게 써졌지요? 아사쿠사구. 이 사람들이 이만저만해서 어떻게 어떻게 해서 죽었다. 요것이 근거란 말입니다. 조건치씨와 김대원씨의 관계는 이랬다.
김씨가 관동대지진 문제를 풀기 위해 일본을 오고 가면서 알게 된 재일동포 2세인 조씨를 양자로 삼았던 모양이다. 조씨는 태평양유족회와 관계도 있었는데, 관동대지진 문제에 대해 태평양유족회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주기를 희망했고, 일본에서도 나름대로 문제를 풀어보려고 노력했으나 아무런 소득도 얻지 못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문제를 푸는 데 한계를 느낀 조씨는 양자관계를 정리하고 이 문제를 잊고 지낸 지 약 5년 후에 친구 야스오한테서 아힘나에서 관동대진재 조선인 학살 진상 규명 문제로 노력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국으로 온 것이다.
김대원씨는 그동안 돌아가신 어르신들의 억울한 원혼을 풀어드리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다고 한다.
해방 후 박정희 정권에서는 말도 못하고 지내왔지만,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자 그래도 한줄기 희망을 가졌던 모양이다. 그런데 박지원 비서실장을 통해 진상 규명을 요청했지만 형식적인 대답뿐, 이렇다 할 정부의 조치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고 한다.
참여정부 들어서도 이런저런 노력을 기울이다가 뜻대로 되지 않자 몸져누웠다가 최근에야 겨우 기운을 차렸다는 것이다.
김 목사는 추도식을 마친 후 김대원씨를 만나러 다시 목포로 내려갔다.
시민연대의 활동 소식을 듣고 그렇게 기뻐할 수가 없었는데…. 추도식 때의 증언에 대해서도 평생의 한을 푸는 것 같다며 학수고대하지 않았던가. 이번 목포행에는 김 목사가 일본에서 관동대지진 문제를 처음 접하는 자리를 마련해주었던 일본 시민단체 아시아하우스의 다카하시 신코 대표가 동행했다.
목포로 내려가는 마음이 그렇게 무거운 것만은 아니었다. 이제 실마리는 찾았으니 그나마 희망은 있지 않은가. 게다가 김씨의 소개로 전남 신안에 살고 있는 또 다른 유족들을 인터뷰할 계획까지 세워두었다.
학살 사건 이후에 일본에서 헌병이 와서 200원을 주었고, 김씨는 그 돈으로 땅을 사서 지금도 농사를 짓고 있다는 증언도 들었다.
일본 헌병이 와서 한국의 유가족을 찾아 위로금을 주었다 하면 당시 그 유가족 명단이 어딘가에 있을 것이고, 그 문서를 찾으면 중요한 단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니, 그조차 없다 하더라도 결코 포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기억하지 않은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역사적 교훈이 아니더라도,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의 인권을 지켜주지 못하는 사회는 살아있는 자들의 인권 역시 지켜줄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
(mochi) the way of propaganda is similar with condemning to the japanese crime of Nanking massacrers or unit731.
they use inhuman cruelhearted pictures,and they issue if the victims people were Chinese or korean,but the fact that the dead body were all of japanese...they can take lies easily.
caution!caution!!
this article is contained some inhumane pictures!!
don't watch if you are not 20 years old nor less.
http://blog.daum.net/ks1471/7136332
관동대지진 [關東大地震]
1923년에 일본 관동(關東) 지방에서 큰 지진이 발생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로 일본 내의 민심이 흉흉하였고 사회 불안이 만연하였다. 이때 일본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인 비난에서 벗어나고자,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킨다."", ""조선인이 일본인을 죽이기 위해 우물에 독약을 넣었다.""는 등 조선인이 이 혼란한 상황을 이용하여 일본인들을 죽이려 한다는 유언비어를 고의적으로 퍼뜨리며 일본의 악화된 민심을 한국인 탓으로 돌리려고 하였다.
그로 인해 격분하게 된 일본인들에 의해 적어도 6000여 명 이상의 우리 동포들이 대학살 당하는 대참사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때 일본 정부와 언론은 오히려 이러한 상황을 더욱 선동하고 방조함으로써 우리 동포의 피해는 더욱 커지게 되었다. 출처: 시사상식사전
관동대학살 [關東大虐殺]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때 일본관헌과 자경단(自警團)이 한국인과 일본인 사회주의자를 학살한 사건.
계엄령이 선포된 도쿄[東京]·가나가와 현[神奈川縣]·사이타마 현[埼玉縣]·지바 현[千葉縣] 등지에서 한국인이 폭동을 일으켰다는 유언비어를 고의로 퍼뜨려 민족배외주의를 자극, 수천 명의 무고한 인명을 앗아갔다.
당시 일본은 노동자계급의 성장, 쌀소동, 일본공산당의 성립에 따른 계급투쟁의 격화와 활발해지는 한국·중국의 민족해방운동에 직면하여 한국인과 사회주의자를 탄압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이때 일어난 대지진으로 인한 사회혼란은 탄압의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일본 경시청은 정부에 출병을 요청했고, 내무대신 미즈노[水野鍊太郞:전조선총독부 정무총감], 경시총감 아카이케[赤池濃:전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등은 2일 도쿄·가나가와 현의 각 경찰서와 경비대로 하여금 한국인 폭동의 유언비어를 퍼뜨리도록 했다.
한편 2~3일 사이에 지방장관에게 "한국인이 각지에 방화하고 불령(不逞)의 목적을 수행하려 한다. 한국인의 행동을 엄밀하게 단속할 것"을 지시하는 전문을 보냈다.
도쿄·가나가와 현·사이타마 현·지바 현에 계엄령이 선포되고, 5일에는 '조선문제에 관한 협정'이라는 것을 극비리에 결정하여 한국인 폭동을 사실로 조작하기 위해 광분했다. 7일에는 치안유지령을 긴급칙령으로 공포했다. 계엄령 아래에서 군대·경찰과 각지에 조직된 자경단에 의해 한국인과 사회주의자가 수없이 학살되었는데,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신문〉 특파원이 조사·보고한 바에 따르면 6,661명이 피살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정부는 10월 20일 학살사건의 보도금지를 해제했지만, 군대·관헌의 학살을 숨기고 자경단에게 그 책임을 전가시켜 재판에 회부했다. 그러나 자경단원은 증거 불충분으로 모두 석방되었다. 출처: 브리태니커
지진현장을 시찰하는 일왕 히러히포
간토 대지진 [간토 대진재, 관동대진재, 관동대지진]
간토 대지진(일본어: 関東大震災) 또는 관동대지진(關東大地震)은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에 일본제국 사가미 만을 진앙지로 발생했던 큰 지진이다. 1855년에도 대지진이 있었으나 보통 간토 대지진은 이때를 말한다.
경과
간토 지진은 5분 간격으로 발생한 세 차례의 지진이다. 최초에 발생한 M 7.8[1]의 진원은 거의 동시에 11시 58분에 오다와라와 미우라 반도의 지하에서 약 15초 간 일어났다. 계속하여 M 7.3의 첫 번째 여진이 12시 1분에 일어나고, 두 번째 M 7.2의 여진이 12시 3분에 발생하였다.
이 세개의 지진은 모두 약 5분이상 계속되었다. 지진 후 간토 지역은 총체적인 혼란에 빠졌다. 정부 조직이 마비되었으며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간토대지진이 일어난 시간은 11시 58분은 점심시간이 임박한 시간이었기 때문에, 이날 도쿄를 비롯한 지진피해지역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였다.
점심을 준비하기 위해 각 가정집과 요식업소에서 불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지진이 발생하면서 불이 대부분 목재건물인 피해지역 건물들을 불태우며 널리 퍼져나간 것이다.
1923년 9월 10일자 매일신보.
신문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들이 폭동을 조장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글로 전면을 다루고 있다.
1923년 도쿄 일원의 간토 지방은 지진으로 인하여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고, 흉흉해진 민심 덕분에 일반인들 사이에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불신이 싹트는 가운데, 내무성은 계엄령을 선포하였고, 각 지역의 경찰서에 지역의 치안유지에 최선을 다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런데, 이때 내무성이 각 경찰서에 하달한 내용중에 "재난을 틈타 이득을 취하려는 무리들이 있다. 조선인들이 방화와 폭탄에 의한 테러, 강도 등을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라는 내용이 있었다. 이 내용은 일부 신문에 보도되었고 보도내용에 의해 더욱더 내용이 과격해진 유언비어들이 신문에 다시 실림으로서 "조선인들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에 독을 풀고 방화약탈을 하며 일본인들을 습격하고 있다" 라는 헛소문이 각지에 나돌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지진으로 인하여 물 공급이 끊긴 상태였고, 목조 건물이 대부분인 일본의 특징때문에 일본인들은 화재를 굉장히 두려워 하였으므로, 이러한 소문은 진위여부를 떠나 일본 민간인들에게 조선인에 대한 강렬한 적개심을 유발하였다.
이에 곳곳에서 민간인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불시검문을 하면서 조선인으로 확인되면 가차없이 살해하는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죽창이나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하였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하였다.
우선 조선식 복장을 한 이는 바로 살해당하였으며, 학살 사실을 알고 신분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복장을 한 조선인들을 식별해 내기 위해서 조선인에게 어려운 일본어 발음(한국어에 없는 어두유성음 및 종종 정확하게 발음되지 않는 장음 발음(撥音)등으로 이루어진) 「十五円五十銭」(じゅうごえんごじっせん)을 시켜보아 발음이 이상하면 바로 살해하였다.
이 때, 조선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류큐인, 외자 성을 강제당해 조선인으로 오인받은 아마미 제도 출신, 지방에서 도쿄로 와 살고 있었던 지방의 일본인(특히 도호쿠 출신)들도 발음상의 차이로 조선인으로 오인받고 살해당하는 등, 자경단의 광기는 상상을 초월할만큼 잔악했다.
일부 조선인들은 학살을 피해 경찰서 유치장으로까지 피신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경찰서 안까지 쳐들어와 끄집어 내어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경찰은 학살사실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였으며, 오히려 조선인을 조직원으로 받아들이고 있던 야쿠자 등 비공권력 범죄 집단의 일부가 조선인을 숨겨주는 일이 있었다.
조선인 학살과 더불어 사회주의자, 아나키스트, 인권운동가, 반정부 행위자 등으로 경찰에 요주인물로 등록되어 있던, 주로 좌파 계열의 운동가에 대한 학살 사건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치안 당국은 "조선인들이 폭동을 저지르려고 한다"는 소문이 헛소문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혼란 수습과 질서 회복의 명분하에 자경단의 난행을 수수방관하였고, 일부는 가담, 조장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점차 자경단의 만행이 도를 넘어서 공권력을 위협할 정도가 되어, 그제서야 개입하였으나, 이미 수많은 조선인들이 학살당한 후였다.
자경단의 살상 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으며, 상당수는 암매장되었다. 학살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에는 도쿄에 흐르는 스미다 강과 아라카와 강은 시체의 피로 인해 핏빛으로 물들었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최종적으로 유언비어를 공식확인하였으나, 피해자의 수를 축소 발표하고, 자경단 일부를 연행,조사하였으나, 형식상의 조치에 불과하였으며, 기소된 사람들도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무죄 방면되었다. 학살 사건으로 인한 사법적 책임 또는 도의적 책임을 진 사람이나 기구는 전혀 없었다.
일본인 요시노 사쿠조는 그의 저서 『압박과 학살』에서 2534명으로, 김승학은 『한국독립운동사』에 피해자가 6066명이라고 적었지만, 그에 비해 당시 일본정부의 추산은 233명이었다.
피해
리히터 규모 7.9에서 8.4 사이로 추정되며 4 ~ 10분 정도 지속되었다. 도쿄 지역과 요코하마 지역, 지바 현, 가나가와 현, 시즈오카 현 등에서 10만 명에서 14만 2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 3만 7천 명이 실종되었다. 10만 9천여 채의 건물이 전부 파괴되고 10만 2천여 채는 반파 되었다.
복구
지진 이후 수도를 이전하자는 주장이 잠시 대두되었다. 히메지나 경성이 거론되기도 하였다. 복구를 하면서 현재의 도쿄의 기틀을 구성하는 도로와 철도 그리고 공원등이 계획되어 보다 근대적 모습으로 도시가 재건되었다.
특히 공원은 이후 있을지 모르는 대지진의 피난처 구실을 하게끔 만들어졌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다시 파괴되는 경험을 겪게 된다.
간토 대지진은 일본이 안전한 땅이 아니라는 인식을 일본인에게 영원히 심어 주었고 이러한 불안이 이후 적극적으로 중국을 침략 지배하겠다는 일본 제국주의를 키운 한 원인이 되었다.(한국은 이미 침략해 식민지를 만들었음으로 여기서 기술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사건은 일본의 안전 불감증의 심각함을 잘 드러내는 사건이 되었다.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간토 조선인 학살사건, 관동 조선인 학살, 관동 조선인 학살사건]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關東大地震 朝鮮人 虐殺事件, 간단히 관동 대학살)은 간토 대지진(1923년) 당시 혼란의 와중에서 일본 민간인과 군경에 의하여 무차별적으로 자행된 조선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대대적인 학살 사건이다. 희생자 수는 약 6,000명[1] 혹은 6,600명[2]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건의 배경
1923년 9월 10일자 매일신보. 신문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들이 폭동을 조장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글로 전면을 다루고 있다.
1923년 도쿄 일원의 간토 지방은 지진으로 인하여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고, 민심과 사회질서가 대단히 혼란스런 상황이었다. 일반인들 사이에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불신이 싹트는 가운데, 내무성은 계엄령을 선포하였고, 각 지역의 경찰서에 지역의 치안유지에 최선을 다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런데 이때 내무성이 각 경찰서에 하달한 내용 중에 “재난을 틈타 이득을 취하려는 무리들이 있다. 조선인들이 방화와 폭탄에 의한 테러, 강도 등을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라는 내용이 있었다.
이 내용은 일부 신문에 사실확인도 없이 보도되었고, 보도 내용에 의해 더욱 더 내용이 과격해진 유언비어들이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등 여러 신문에 다시 실림으로써 “조선인(또한 중국인)들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에 독을 풀고 방화·약탈을 하며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라는 거짓소문이 각지에 나돌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지진으로 인하여 물 공급이 끊긴 상태였고, 목조 건물이 대부분인 일본인은 화재를 굉장히 두려워 하였으므로, 이러한 소문은 진위 여부를 떠나 일본 민간인에게 조선인이나 중국인에 대한 강렬한 적개심을 유발하였다.
일본인들의 조선인 학살
이에 곳곳에서 일본인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불심검문을 하면서 조선인이나 중국인으로 확인되면 가차없이 살해하는 만행을 저지르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죽창이나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하였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하였다.
우선 조선식이나 중국식 복장을 한 이는 바로 살해당하였으며, 학살 사실을 알고 신분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복장을 한 조선인이나 중국인, 타지역 출신을 식별해 내기 위해서 외국인에게 어려운 일본어 발음(한국어에 없는 어두유성음 및 종종 정확하게 발음되지 않는 장음 발음(撥音) 등으로 이루어진) “十五円五十銭”(じゅうごえんごじっせん)을 시켜보아 발음이 이상하면 바로 살해하였다.
이때, 조선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류큐인, 외자 성을 강제당해 조선인으로 오인받은 아마미 제도 출신, 지방에서 도쿄로 와 살고 있던 지방의 일본인(특히 도호쿠, 고신에쓰, 홋카이도 출신), 미국, 영국 등 서양 출신으로 도쿄에 온 기자들도 발음상의 차이로 조선인으로 오인받고 살해당하는 등, 자경단의 광기는 상상을 초월하였다.
일부 조선인들은 학살을 피해 경찰서 유치장으로까지 피신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자경단이 경찰서 안까지 쳐들어와 끄집어 내어 학살하였다.
외국인이나 타 지역 사람들이 도쿄에 가는 것은 곧 죽음을 뜻했다. 경찰은 살인을 보고서도 방관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였으며, 오히려 조선인을 조직원으로 받아들이고 있던 야쿠자등 비공권력 범죄 집단의 일부가 조선인을 숨겨주는 일이 있었다.
조선인 학살과 더불어 사회주의자, 아나키스트, 인권운동가, 반정부 행위자 등으로 경찰에 요주의 인물로 등록되어 있던, 주로 좌파 계열의 운동가에 대한 학살사건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일본 치안당국의 학살묵인
치안 당국은 루머상의 “조선인 폭동”이 없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혼란 수습과 질서 회복의 명분하에 자경단의 만행을 수수방관하였고, 일부는 가담하거나 조장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점차 자경단의 만행이 도를 넘어서 공권력을 위협할 정도가 되자, 그제야 개입하였으나, 이미 수많은 조선인이 학살당한 후였다.
자경단의 살상 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으며, 상당수는 암매장되었다.
작두로 조선인을 살해하는 장면
학살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에는 도쿄에 흐르는 스미다가와와 아라카와의 두 강이 흘러 다니는 시체로 인해 피바다로 물들었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최종적으로 유언비어를 공식 확인하였으나, 피해자의 수를 줄여서 발표하고, 자경단 일부를 연행·조사하였으나, 형식상의 조치에 불과하였으며, 기소된 사람들도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무죄 방면되었다.
학살 사건으로 인한 사법적인 책임또는 도의적인 책임을 진 사람이나 기구는 전혀 없었다. 이로서 악성 루머가 얼마나 끔찍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잘 드러나게 되었다.
관련 사실
당시의 일본 당국은 지진 발생 얼마 전에 조선의 3.1운동과 식민지였던 대만에서 수천 명의 사상자를 낳은 대규모 봉기를 유혈 진압하면서 민중의 저항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되었다. 지진 당시, 치안을 맡은 최고 책임자들은 주로 대만 총독부에서 일하던 관료 및 군인 출신이었다. 또한 일본 본국에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인하여 노동운동, 민권운동, 여성운동 등 지배 권력에 대한 민중의 저항과 권리찾기 운동이 활발하던 시기였다.
↑ 왼쪽 _ 관동대지진 당시 일본 경찰 및 자경단의 조선인 학살.
일본 치안당국은 터무니없는 유언비어를 만들어 각 신문사로 보냈다.
이러한 분위기를 사회적 혼란 또는 일본제국의 위기으로 판단한 이들은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인 지진을 기화로 조선인을 희생양 삼아, 질서를 유지할 목적으로 “조선인 폭동설”을 날조하였다.[3] 사건 이후, 일본 당국은 이 사실이 알려질 경우, 조선에서 다시 대규모 반발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한동안 일본 내 조선인의 입국을 금지시켰다.
또한 초기 발표를 하면서 조선인 사상자의 수는 불과 2~3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할 정도로 일본 정부는 사건을 숨기는데 급급하였다.
조선인 학살사건과 관련된 일본의 저명인
저명한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와 그의 6살짜리 조카 다치바나 소이치, 페미니스트 사회주의자이자 오스기의 아내인 이토 노에가 아마카스 마사히코 중위가 이끄는 군경에 체포되어 죽을 때까지 구타당한뒤, 우물에 유기된 아마카스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간토 대지진후의 사회적 패닉상태를 일본 전국에 널리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조선인 학살사건도 이 사건을 통해 알려졌다.
일본 영화계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구로사와 아키라(黒澤明)는 대지진 후의 혼란기를 소년기에 직접체험하여, 당시 억울하게 희생된 조선인과 자경단의 광기, 유언비어 등에 대하여 상세히 증언하는 유명인의 한 사람이다.
한편, 일본의 소설가이며,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 중 하나인 아쿠타가와 상으로 유명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자경단으로 활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사람의 길]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진상 규명을 위하여
기억하지 않은 역사는 되풀이된다.http://zine.media.daum.net/weeklykh/view.html?cateid=3000&newsid=20080925113920500&p=weeklykh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도쿄, 카나가와, 치바, 사이타마, 시즈오카, 야마나시, 이바라키의 1부 6현에 강도 7.9의 대진재가 일어났다. 화재도 일어나 사망자 9만9331명, 행방불명 4만3476명, 가옥 전괴 12만8266호, 반괴 12만6233호, 소실 44만7128호에 달했다.
극도로 혼란해진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으로 일본 정부는 9월 2일 제국헌법 8조가 정하는 긴급칙령에 의해 계엄령을 선포했다.
지진과 화재가 일어나는 와중에 약탈과 방화, 우물에 독극물을 넣는 등의 불령스러운 행동을 하는 자들이 있어 재난을 당한 이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명목이었지만 이것은 일본 정부의 매우 치밀한 계획 속에 펼쳐지게 될 대학살의 지침이었다.
-2007년 9월 1일, 대한민국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유기홍 의원 기자회견 중에서 1923년 일본 정부는 관동지방에서 일어난 대지진 당시 터무니없는 유언비어를 유포하여 재일조선인 6661명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당시 일본 정부는 두 가지 사실을 몹시 두려워했다. 그것은 조선에서 일어난 3·1운동의 영향과 그후 조선을 넘어 중국·일본으로 번져가는 조선인의 해방운동이었으며, 또 하나는 재일조선인 사회주의자 및 노동자가 일본 사회주의자 및 노동자와 연대하려는 움직임이었다.
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일본 정부는 대지진의 혼란 속에서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고 하여 계엄령을 포고한 결과, 군대와 경찰뿐 아니라 민족적 편견을 가진 일본 민중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조선인 학살에 합세했다.
그러나 조선인 폭동은 없었다. 그런데도 일본은 조선인 학살의 역사적 사실을 은폐하고 그 흔적을 없애기 위한 작업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했을 뿐 아니라 도리어 피해 당사자인 조선인들에게 학살의 원인 제공자로 누명을 씌웠다.
한편, 한국 정부는 해방 후 63년이 지나도록 일본 정부를 향해 재일동포의 인권유린과 학살에 대한 그 어떤 진상조사 요구도 하지 않았다.
지난 9월 7일, 서울 향린교회에서는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사건 85주년을 맞아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을 위한 한·일·재일 시민연대(공동대표: 강덕상, 야마다 쇼지, 서굉일) 주최로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추도식을 열었다.
8월 9일, 재일본 한국YMCA에서 있은 '동대진재 85주년 조선인 희생자 추도 심포지엄'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로 열리는 추도행사였다.
이날 추도식에는 관동대지진 다큐멘터리 '아아! 관동대진재(SBS 제작)' 상영에 이어 추도 예배가 있었지만, 원래 계획한 유가족의 증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목포에 살고 있으면서 관동대지진 당시 일본에 있던 일가친척 5명 중 4명을 잃은 김대원(82)씨가 증언을 약속했으나 고령에다 건강이 좋지 않아 끝내 상경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시민연대의 한국상임대표로 있는 아힘나운동본부 김종수(45) 목사의 아쉬움은 컸다.
그가 관동대지진 문제를 처음 접한 것은 작년 아힘나(아이들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나라, 뉴스메이커 780호)의 일본 교류 캠프 때였다.
당시 아힘나는 일본에서 여러 가지 학습활동을 펼쳤는데, 그 중 재일한국인의 역사를 아이들이 직접 조사하기로 한 것을 계기로 '관동대지진사건'에 대한 생생한 증언과 사진, 고려박물관의 패널들을 접하게 되면서 그는 큰 충격과 함께 심한 분노에 휩싸였다.
그동안 이런 사실을 역사에 묻어놓고 왔던 데 대한 죄책감도 일었다. 그는 이 사건의 진실을 제대로 규명하고 또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죽은 이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특별법안을 만들고, 국제적인 조사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함께 힘을 쏟은 결과, 2007년 9월에는 대한민국 국회 유기홍 의원의 기자회견이 있었고, 그해 11월 7일, 일본 도쿄에서 마침내 한·일·재일 시민연대가 출범한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진상규명을 위한 자료와 증언이 절실했다.
▶ 화가 가야하라하쿠도(萱原白洞, 본명은 다케오(竹尾) 후에 黃丘로 개명)의 총 11.5m 관동대지진 묘사
두루마리그림 중 칼과 죽창 곤봉을 든 자경단의 조선인 학살 장면
그런 가운데 김대원씨와 만남은 마치 예정해놓은 어떤 길과도 같았다.
1년 전쯤, 시모노세키에 사는 평화운동가 쿠와노 야스오는 김 목사가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친구인 조건치(재일동포 2세)씨를 소개해주었다.
야스오는 작년 국회 행사 때 조씨와 함께 직접 한국으로 왔다. 조씨는 일본으로 돌아가면서 그에게 관동대지진 문제는 유가족을 만나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며, 자신이 유가족 한 분을 알고 있으니 찾아가 보라고 연락처를 주었다. 그 사람이 바로 김대원씨였다.
그는 연락처를 받고 몇 차례 전화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아 옛 주소려니 생각하고 한동안 연락을 접고 있었다.
그러다가 8월 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심포지엄을 앞두고 혹시나 싶어 연락을 취했는데 용케도 연결이 되었다. 처음 연락했을 당시엔 몸이 많이 편찮아 병원을 오고갔던 모양이어서 제대로 연결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연락이 닿은 후 김 목사는 7월 말께 김씨를 만나러 목포로 달려갔다. 김씨는 관동대지진 때 일본에 있던 일가친척 중 유일하게 살아 돌아온 큰아버지뻘 되는 고(故) 김동진씨에게서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 뒤엔 내가 이 일은 나 혼자만이라도 해야 쓰겄다. 왜냐하면 한국에서 뭐냐, 그러면 돌아가신 양반들의 영을 위해서 너무 불쌍하잖아. 창으로 찔러서 죽이고 톱으로 썰어서 죽이고 이런 짓거리를 했단 말입니다.
그 사람들이 사람들을 그렇게 죽였어. …일본말로 말하면 가라묘시벤인지, 그렁께 헛묘여. 그러고서 옷을 묻어주고, 무엇을 묻어주고. 고향에 헛묘를 만들어서 관동대지진 때 돌아가신 양반들, 유족들 한번 나와 봐라. 우리 요런 일이라도 한번 해보자. 그런데 나오는 사람들이 하나도 없어.
하도 오래 되어서. 그래서 우리 집안 사람들이라도, 내가 위해서라도 해야 쓰겄다. …그 당시에 내가 이것을 하나 뜯었어(뗐어). 이것이 구호적부입니다.
옛날에 말하던 호적입니다. 지금은 이렇게 나오지만, 호적보가 대적보라고 하는 것인데, 여기를 쭉 봤어요. 쭈욱 보니깐 대정이라고 써있네. 대정 몇 년, 그렇게 써졌지요? 아사쿠사구. 이 사람들이 이만저만해서 어떻게 어떻게 해서 죽었다. 요것이 근거란 말입니다. 조건치씨와 김대원씨의 관계는 이랬다.
김씨가 관동대지진 문제를 풀기 위해 일본을 오고 가면서 알게 된 재일동포 2세인 조씨를 양자로 삼았던 모양이다. 조씨는 태평양유족회와 관계도 있었는데, 관동대지진 문제에 대해 태평양유족회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주기를 희망했고, 일본에서도 나름대로 문제를 풀어보려고 노력했으나 아무런 소득도 얻지 못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문제를 푸는 데 한계를 느낀 조씨는 양자관계를 정리하고 이 문제를 잊고 지낸 지 약 5년 후에 친구 야스오한테서 아힘나에서 관동대진재 조선인 학살 진상 규명 문제로 노력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국으로 온 것이다.
김대원씨는 그동안 돌아가신 어르신들의 억울한 원혼을 풀어드리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다고 한다.
해방 후 박정희 정권에서는 말도 못하고 지내왔지만,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자 그래도 한줄기 희망을 가졌던 모양이다. 그런데 박지원 비서실장을 통해 진상 규명을 요청했지만 형식적인 대답뿐, 이렇다 할 정부의 조치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고 한다.
참여정부 들어서도 이런저런 노력을 기울이다가 뜻대로 되지 않자 몸져누웠다가 최근에야 겨우 기운을 차렸다는 것이다.
김 목사는 추도식을 마친 후 김대원씨를 만나러 다시 목포로 내려갔다.
시민연대의 활동 소식을 듣고 그렇게 기뻐할 수가 없었는데…. 추도식 때의 증언에 대해서도 평생의 한을 푸는 것 같다며 학수고대하지 않았던가. 이번 목포행에는 김 목사가 일본에서 관동대지진 문제를 처음 접하는 자리를 마련해주었던 일본 시민단체 아시아하우스의 다카하시 신코 대표가 동행했다.
목포로 내려가는 마음이 그렇게 무거운 것만은 아니었다. 이제 실마리는 찾았으니 그나마 희망은 있지 않은가. 게다가 김씨의 소개로 전남 신안에 살고 있는 또 다른 유족들을 인터뷰할 계획까지 세워두었다.
학살 사건 이후에 일본에서 헌병이 와서 200원을 주었고, 김씨는 그 돈으로 땅을 사서 지금도 농사를 짓고 있다는 증언도 들었다.
일본 헌병이 와서 한국의 유가족을 찾아 위로금을 주었다 하면 당시 그 유가족 명단이 어딘가에 있을 것이고, 그 문서를 찾으면 중요한 단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니, 그조차 없다 하더라도 결코 포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기억하지 않은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역사적 교훈이 아니더라도,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의 인권을 지켜주지 못하는 사회는 살아있는 자들의 인권 역시 지켜줄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
(mochi) the way of propaganda is similar with condemning to the japanese crime of Nanking massacrers or unit731.
they use inhuman cruelhearted pictures,and they issue if the victims people were Chinese or korean,but the fact that the dead body were all of japanese...they can take lies easily.
the documents of Kanto earthquake in 1923 by Irezumi
406 : 刺青 ◆1mDQNBpTa2 : 2011/10/20(木) 03:34:32.14 ID:YJ72rb/A [1/5回発言](´-`).。oO(関東大震災ですか?)
(´-`).。oO(資料は有るには有るのですが、今現在ネットに上げている資料はこれしか上げてないんです・・・)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5.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6.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7.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8.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9.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70.pdf
(´-`).。oO(他にも知人から頂いた朝日新聞の号外も有るのですが、折を見てうpします)
(´-`).。oO(関東大震災で虐殺が有ったか否かですが、問題を解くカギは【流言浮説取締令】の公布と)
(´-`).。oO(鮮人の暴動や破壊活動等が実際に有ったか否かに有ると思います)
(´-`).。oO(9月3日の号外で鮮人の暴動が書かれ、流言浮説取締令が9月7日に公布され)
(´-`).。oO(10月21日の記事差し止めが解けると、鮮人の事件がまた報道されます)
(´-`).。oO(となると、当時の政府判断で、暴動をデマで政治決着させたと見るのが自然でしょう)
(´-`).。oO(不幸な事に大杉栄事件が有ったが為に、不穏分子の虐殺が行なわれたイメージが有りますが)
(´-`).。oO(実際は鮮人不穏分子であっても保護拘束されています(朴烈))
(´-`).。oO(資料は有るには有るのですが、今現在ネットに上げている資料はこれしか上げてないんです・・・)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5.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6.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7.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8.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69.pdf
ttp://www.soutokufu.com/warehouse/img/70.pdf
(´-`).。oO(他にも知人から頂いた朝日新聞の号外も有るのですが、折を見てうpします)
(´-`).。oO(関東大震災で虐殺が有ったか否かですが、問題を解くカギは【流言浮説取締令】の公布と)
(´-`).。oO(鮮人の暴動や破壊活動等が実際に有ったか否かに有ると思います)
(´-`).。oO(9月3日の号外で鮮人の暴動が書かれ、流言浮説取締令が9月7日に公布され)
(´-`).。oO(10月21日の記事差し止めが解けると、鮮人の事件がまた報道されます)
(´-`).。oO(となると、当時の政府判断で、暴動をデマで政治決着させたと見るのが自然でしょう)
(´-`).。oO(不幸な事に大杉栄事件が有ったが為に、不穏分子の虐殺が行なわれたイメージが有りますが)
(´-`).。oO(実際は鮮人不穏分子であっても保護拘束されています(朴烈))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