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Friday, August 31, 2012
discovered original instruments of Great korean Empire, in Paris, exhibition
http://mimizun.com/log/2ch/news4plus/1127793120/
discovered original instruments of Great korean Empire, in Paris, exhibition.
regained "The Sound of original Korea" for the first time in 100 years.
【韓国】100年ぶりに取り戻した「韓国の音」…"大韓帝国"時代の"古楽器"、パリで発見、展示[9/27]
1 :黒雲φ ★:2005/09/27(火) 12:52:00 ID:???
100年ぶりに取り戻した「韓国の音」
SEPTEMBER 27, 2005 05:56
1900年にフランス・パリで開かれた万国博覧会で展示された、韓国の伝統楽器が発見された。
パリ音楽博物館が所蔵しているこれらの楽器は、伽倻琴(カヤグム)、コムンゴ、奚琴(ヘグム)、大芩(テグム)など、合わせて13点だ。当時、博覧会に参加した韓国使節団は、17点をフランスに寄贈し、このうち紛失した4点を除く残りを音楽博物館が保管している。
学界によると、国内外を見ても、木や皮で作られた古楽器で、100年以上も保管されている事例は、非常に珍しい。このため、今回発見された楽器は宝物級ではないが、貴重な遺物として評価される。
これらの楽器は、これまでパリのいくつかの博物館を経て、倉庫に保管され続けたので、その存在さえ知られていなかった。音楽博物館で非ヨーロッパ圏の楽器展示を担当している学芸研究員のフィリップ・ブリゲイル氏の努力で、ついに日の目をみたのである。
ブリゲイル氏は、うわさを頼りに、パリ人類博物館に保管されていた韓国楽器を探し出し、昨年、音楽博物館に移した。音楽博物館は、2007年までに非ヨーロッパ圏楽器展示室を2倍に広げ、韓国楽器7点を展示する計画だ。
楽器の保管状態は、比較的良好だ。しかし、コムンゴと奚琴の絃を支える琴柱の一部が破損し、チャングは左右の皮だけが残っていた。博物館側は、専門家に依頼して、楽器の復元作業を進めている。
淑明(スクミョン)女子大学伝統文化芸術大学院の宋恵眞(ソン・ヘジン)教授は、「105年前にパリ万国博覧会で伝統楽器が展示され、演奏もされたことは大変興味深い事実だ」とし、「17点も寄贈されたとすれば、これを通じて当時の国楽(韓国の伝統音楽)演奏団の楽器編成も知ることができる、貴重な資料になる」と説明した。
1900年、エッフェル塔のあるシャンドマルスで開かれた万国博覧会に、韓国は、明成(ミョンソン)皇后の甥にあたる閔泳瓚(ミン・ヨンチャン)法部協辧(現在の法務次官)を代表とする使節団を送った。使節団は、陶磁器、書籍、楽器、皇帝の衣装、農機具、兵器、ガラス製品、金銀製品、農産物等数百点を展示し、博覧会が終わった後、これらの楽器をフランス国立音楽博物館(Mus’ee du conservatoire national de musique)に寄贈した。
国立音楽博物館側は、所蔵品リストに、これを「ミンルンス王子(prince Min Lung Chou)が贈った大韓帝国(l’empire de Cor’ee)の楽器」と記録した。1931年には、人類博物館がオープンしてこれらの楽器を展示し、さらに、1997年に開館した音楽博物館(Mus′ee de la musique)に昨年、移された。
現在、非ヨーロッパ圏楽器展示室には、日本、中国、インドの楽器があるが、韓国の楽器はない。
東亜日報
http://japan.donga.com/srv/service.php3?biid=2005092709048
関連スレ:
Japan's problem over the past By Bethan Jinkinson
http://news.bbc.co.uk/2/hi/asia-pacific/4145356.stm
Japan's problem over the past
By Bethan Jinkinson
BBC News
Japan's actions still cast a shadow over the region
As Japan marks the 60th anniversary of its surrender in World War II, its handling of the past still rankles in some parts of Asia.
Unlike the reconciliation in Europe of former foes like Britain and Germany, relations between Japan and her Asian neighbours, particularly China, remain very strained.
Japan's imperial army, which annexed Korea as a colony in 1910, later seized control of large parts of China and South East Asia as the war dragged on.
Its methods were often brutal. Following the 1937 capture of the Chinese city of Nanjing, Japanese troops killed up to 300,000 civilians and raped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women, historians estimate.
The Japanese soldiers were plunging their bayonets into everybody
Xiao Wenhu
Japanese atrocities are well documented in many other parts of Asia too.
Xiao Wenhu was a young Chinese boy living in Malaysia when Japanese soldiers came to his village in 1942.
"We were terrified, people were so scared. We all fell to our knees. We called out to them to spare our lives. The Japanese soldiers were plunging their bayonets into everybody, stabbing again and again. By around 6pm all became quiet. Everyone was dead," he said.
Reconciliation
All this was going on at the same time that the German chancellor Adolf Hitler was executing his final solution, murdering millions of people from Europe's Jewish, gypsy and gay communities.
But since the end of the war, Germany and the countries it fought have become allies. The holocaust is taught in detail in German schools.
Japanese-born Keiko Holmes runs a charity which helps promote reconciliation between Japan and her former enemies.
"The German people are very transparent, they acknowledge what they have done wrong and they have apologised - and they are teaching at school what they have done, in order that the same sort of thing doesn't happen again," Mrs Holmes said.
The majority of our people believe that Japan was forced into war by the United States
Hideaki Kase
But while Japan's government and businesses have invested heavily in East Asia's economies since the end of the war, there has been no real political rapprochement.
And unlike Germany, Japan has been equivocal about its apologies and the way it teaches its young people about what happened.
Although there are exceptions, Japanese school textbooks tend to skate over atrocities committed by their troops - a fact which prompts its neighbours to say Japan's apologies are insincere.
The Japanese nationalist author Hideaki Kase is adamant that Japan should not shoulder the blame for the war.
"The majority of our people believe that Japan was forced into war by the United States. America was making unreasonable demands upon us. So we were fighting a war of national self-defence," Mr Kase said.
Controversial visits
Although that represents the hard-line end of Japanese nationalism, his sentiments are tacitly accepted by many Japanese.
This may explain why several high-profile Japanese politicians, including current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feel able to regularly pay their respects at the Yasukuni shrine in Tokyo, which along with other Japanese war dead honours 14 Class A war criminals.
YASUKUNI SHRINE
Built in 1869 to honour victims of the Boshin Civil War
Now venerates the souls of 2.5m of Japan's war dead
Those enshrined include 14 Class A war criminals
Japan's controversial shrine
Keiko Holmes believes that Japanese politicians have behaved irresponsibly.
"The Japanese government has not recognised it and apologised properly, because they don't want to let the Japanese people know the truth," she said.
Mr Koizumi's shrine visits, the controversy over history textbooks and an increasingly nationalistic tone in some parts of the Japanese press have contributed to a serious deterioration in ties with China, and widespread anti-Japanese sentiment in China and Korea.
But is there any hope of future reconciliation between Japan and its neighbours, especially China?
Keiko Holmes visited Nanjing last year, and apologised for the pain that her countrymen had inflicted on China.
"I think the wound is very deep," she said. "I think it is very difficult to really reconcile. But nothing is impossible. If we try hard, if we become really sincere, I am optimistic, I am hoping that things will turn. "
Although people like Keiko Holmes are trying to bring about understanding on a personal basis, there will have to be big changes - among Japanese politicians and its education system - before true reconciliation takes place.
http://news.bbc.co.uk/2/hi/asia-pacific/1330223.stm
Japan's controversial shrine
The shrine venerates the souls of Japan's war dead
Yasukuni Shrine - the name means 'peaceful country' - was founded in 1869 on the orders of Emperor Meiji.
It is dedicated to the souls of about 2.5 million Japanese men, women and children who died in the name of their country since that time.
They include soldiers, war-time nurses, students who entered into battle, and those who committed suicide in shame at the end of World War II.
At the centre of the shrine's controversy is the fact that those venerated include 14 convicted class A war criminals, including Prime Minister General Hideki Tojo.
Within the shrine, the souls of the dead are worshipped rather than just remembered.
According to Japan's national Shinto religion, humans are transformed into "kami" or deities when they die, and as such are worshipped by their descendants. The kami of remarkable people are enshrined.
Surrounded by war banners and military regalia, the Yasukuni kami are venerated by hundreds of thousands of visitors who attend the shrine each year.
Compared with most Shinto shrines, which were founded hundreds of years ago, the dedication of the Yasukuni shrine was a relatively recent affair.
Analysts say that because the main wars it commemorates are those with China and the US, it appears to the political left to symbolise foreign invasions.
To the right, it is a symbol of patriotism.
Heated debate
The shrine is frequently at the centre of political storms. There have been several parliamentary debates aimed at removing General Tojo's kami, but these have been blocked every time by nationalists.
The debate intensifies in the lead up to 15 August - the anniversary of Japan's surrender in World War II.
Several cabinet ministers pay their respects at the shrine each year, but only one Prime Minister, Yasuhiro Nakasone in 1985, has made an official visit since the war.
Former Prime Minister Ryutaro Hashimoto made what he said was a private visit, on his birthday in July 1996.
Mr Koizumi has visited the shrine six times as prime minister
Current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has made six visits to Yasukuni since he took office in 2001. Arguments have ensued over whether these were made in a private or official capacity, although Mr Koizumi has denied such a distinction can exist for a country's leader.
"I'm both a public and private person," he has said.
Mr Koizumi has repeatedly argued that his visits are to pray for peace and that Japan should never go to war again.
But the visits have angered Japan's Asian neighbours, especially China and Korea, who were victims of the country's military aggress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domitable Namdaemun
http://gerecter.egloos.com/m/3614261
불굴의 남대문
기타게렉터 2008/02/11 10:51
글자크기 글자크기 작게 글자크기 크게
동국여지비고에 실린 기록:
태조 5년(1396년)에 돌로 쌓았는데 평양 감사(平壤監司) 조준(趙浚)이 공사를 감독하였다. 세종 4년(1424년)에 고쳤는데, 주위가 1만 4천 9백 35보로 주척(周尺)으로 재어서 8만 9천 6백 10자요, 높이가 40자 2치이다. 문 8개를 세웠다. 정남쪽 문을 숭례문(崇禮門)이라 하는데, 이층 지붕이고, 양녕대군(讓寧大君)이 현판 글씨를 썼으며 민간에서 남대문이라 부른다.
(김학수 화백의 조선시대 칠패시와 함께 그린 풍경)
(김학수 화백의 조선시대 칠패시와 함께 그린 다른 풍경)
(김학수 화백이 그린 여름 풍경)
(김학수 화백이 그린 겨울 풍경)
(1770년 목판인쇄본 지도에 실린 숭례문)
(1880년 사진)
(19세기 말엽 사진)
(1900년 사진)
(영국에 소개된 자동차가 출현했을 때 시민들의 놀람을 그린 그림)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임진왜란과 남대문:
도성(都城)의 남대문(南大門)에 숭례문(崇禮門)이라는 이름은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것이요, 그 액자는 세상에서 전하기를, 양녕대군(讓寧大君) 의 글씨라 한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왜적들이 그 액자를 떼어 버려 유실되었는데, 왜란이 평정된 후 남문(南門) 밖의 못[池] 근방에서 밤마다 괴이한 광선(光線)을 내쏘므로 그곳을 발굴하여 다시 이 액자를 찾아 걸었다고 한다....
... 현재 숭례문(崇禮門)의 편액은 정난종(鄭蘭宗)이 쓴 것이다. 그렇다면, 국초(國初)에 걸었던 편액이 반드시 있었을 것인데, 양녕대군(讓寧大君)이 어째서 다시 썼단 말인가. 난리가 평정된 후 괴이한 광선으로 인하여 다시 찾아 걸었다고 하였으니, 정공(鄭公)은 또 어떻게 해서 그를 써서 걸었단 말인가. 하물며 정공은 세조(世祖) 때 사람으로 글씨를 잘 썼기 때문에 비판(碑版)이나 종명(鐘銘)을 어명에 의해 많이 썼으니, 숭례문의 편액도 그의 글씨라는 말은 거짓이 아니다. 그리고 그 자체(字體)를 보아도 바로 그의 서체(書體)임이 분명하다. 임진왜란 때에 왜노(倭奴)들에 의해 없어졌다가 난리가 평정된 후 다시 찾아 걸게 됨으로써, 양녕대군의 글씨라고 와전된 데다 괴이한 광선에 대한 설(說)까지 다시 부회(傅會)된 것이다. (오주연문장전산고 중에서 발췌)
병자호란과 남대문:
병자년(1636) 병란 때에 임금님께서 강화(江華)로 피신하기로 의논을 정하고는 늙고 병든 사람을 먼저 보내도록 명하였기 때문에 부군이 먼저 도성을 떠나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예조 판서의 신분으로 대궐에 있다가 묘사(廟社)의 신주(神主)를 따라서 먼저 길을 나섰고, 그 뒤를 이어 임금님이 타신 대가(大駕)가 출발하였는데, 대가가 남대문(南大門)에 이르렀을 때 오랑캐의 기병을 만났다. 그랬으므로 길을 피하여, 다시 수구문(水口門)을 통해서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향하였다. (포저집 선부군 행장 중에서 발췌)
(대한제국 멸망과 함께 남대문 앞에 세워진, 한일합방을 환영하는 기념문)
(대한제국 멸망 후 성벽이 헐린 직후 무렵 사진)
(일제시대의 사진)
(일제시대 교과서 그림: 한일합방을 즐거워하는 두 나라 사람들 이라는 내용의 설명과 함께)
(일제패망 직후, 서울에 진주하는 연합군을 구경하는 시민들과 환영 행렬)
(대한민국 정부 수립 무렵 1946-1948년경)
(한국전쟁 중의 사진)
(공산당 점령하의 서울, 미군 철군을 주장하는 시위대 사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서울에 서 있는 사진)
(1952년)
(한국전쟁 직후 사진)
(50년대 지폐)
(4.19이전 이승만 대통령의 선거 홍보 사진이 붙은 모습)
(60년대 초의 남대문)
(1962-63년 개보수 공사 직후 사진)
(60년대 지폐)
(언제나 지겹도록 지켜보던 20세기 후반의 풍경)
(60년대판 대괴수 용가리 영화에서 용가리가 남대문 앞으로 접근하는 장면)
(1970년대, 박노식, 최지희, 안인숙 주연, 설태호 감독, 영화, "남대문 출신 용팔이" 포스터)
(1987년 민주화 시위 당시 사진)
(1988년 서울 올림픽 기념 주화)
(90년대초 일본 비디오 게임 아랑전설 시리즈에 등장하는 장면)
(서울 관광 홍보 영상 등에서 진부하도록 보던 풍경)
(접근 횡단보도 재개)
(일반 개방 재개)
(2006년에 나온 성벽 복원 계획)
(2008년 2월 10일 화재)
(붕괴순간)
(2008년 2월 11일 현재)
지켜 주지 못해 미안해.
정말 미안해.
"Last breath of the Great Korea Empire" French archaeologist taken in 1901-1904
http://blog.daum.net/ksla05/3472
"Last breath of the Great Korea Empire" French archaeologist taken in 1901-1904
(Emile Bourdaret)
대한제국 시절 | 공유자료
안전은 생명 2012.04.23 06:04 http://blog.daum.net/ksla05/3472
에밀 부르다레가 1903년경 고종황제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궁중연회에 참석했을 때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궁정무용수.
사진 제공=글항아리
1900∼1903년 조선에 머물렀던 프랑스 고고학자 에밀 부르다레가 말을 타고 여행 중인 조선 양반을 찍은 사진.
말고삐를 쥔 더벅머리 총각과 갓을 쓴 시종과 함께 나선 양반의 하얀 옷차림이 두드러진다.
사진 제공=글항아리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글항아리)에 삽입된 한말 양반의 모습.
이 책의 저자인 프랑스 고고학자인 에밀 부르다레는
1901-1904년 전국을 돌아다니며 대한제국의 실상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사진 제공=글항아리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글항아리)에 삽입된 아현동 연희장 사진 .
프랑스 고고학자인 에밀 부르다레는
1901-1904년 전국을 돌아다니며 대한제국의 실상을 기록한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글항아리)에 삽입된 한말 옥외 간이식당의 모습.
이 책의 저자인 프랑스 고고학자인 에밀 부르다레는
1901-1904년 전국을 돌아다니며 대한제국의 실상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사진 제공=글항아리
일제시대 이모 저모 <4>
풍속사진 중의 어느 시장풍경
당시 상류층 여인들이 손재봉틀과 손 바느질로 옷을 만들고 있다.
천진난만하게 웃고 있는 아이들.
당나귀를 타고 가는 외출객.
물지게를 지고 두레박을 들고 있는 물장수.
닭장수의 모습.
지게꾼이 피곤한지 낮잠을 자고 있다.
노파가 목화에서 씨를 빼내고 있다.
선성 낚시를 즐기는 모습.
절구질를 하는 어느 피폐한 집의 여인. 어깨가 무겁게 보인다.
젊은 새댁이 아이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여인네들은 외출시 이런 장옷을 쓰고 집밖을 출입했다.
==================================
◆ 안전한나라, 편안한나라, 건강한나라를 만들기위한 안전교육 ◆
사)한국안전교육강사협회 www.koreasafe.or.kr 02)2068-0390
===================================
대한민국 안전 명강사,-안전강사,-생활안전관리사,-아동안전관리지도사
-사회복지안전강사,-펀,웃음 안전강사,-안전지도자,-리더십안전강사
관리감독자교육,안전의식고취,재미있는 안전교육.위험예지훈련 알아보기
(사) 한국안전교육강사협회 서울 구로구 구로5동 570-165
ksla05@naver.com클릭하시면 홈페이지에 바로 연결됩니다
====================================================
제1회 대한민국 인잔전교육 강사 경진대회 보기
주최 : 행정안전부 산업안전보건공단 주관 : 한국안전교육강사협회
"Last breath of the Great Korea Empire" French archaeologist taken in 1901-1904
(Emile Bourdaret)
대한제국 시절 | 공유자료
안전은 생명 2012.04.23 06:04 http://blog.daum.net/ksla05/3472
에밀 부르다레가 1903년경 고종황제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궁중연회에 참석했을 때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궁정무용수.
사진 제공=글항아리
1900∼1903년 조선에 머물렀던 프랑스 고고학자 에밀 부르다레가 말을 타고 여행 중인 조선 양반을 찍은 사진.
말고삐를 쥔 더벅머리 총각과 갓을 쓴 시종과 함께 나선 양반의 하얀 옷차림이 두드러진다.
사진 제공=글항아리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글항아리)에 삽입된 한말 양반의 모습.
이 책의 저자인 프랑스 고고학자인 에밀 부르다레는
1901-1904년 전국을 돌아다니며 대한제국의 실상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사진 제공=글항아리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글항아리)에 삽입된 아현동 연희장 사진 .
프랑스 고고학자인 에밀 부르다레는
1901-1904년 전국을 돌아다니며 대한제국의 실상을 기록한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글항아리)에 삽입된 한말 옥외 간이식당의 모습.
이 책의 저자인 프랑스 고고학자인 에밀 부르다레는
1901-1904년 전국을 돌아다니며 대한제국의 실상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사진 제공=글항아리
일제시대 이모 저모 <4>
풍속사진 중의 어느 시장풍경
당시 상류층 여인들이 손재봉틀과 손 바느질로 옷을 만들고 있다.
천진난만하게 웃고 있는 아이들.
당나귀를 타고 가는 외출객.
물지게를 지고 두레박을 들고 있는 물장수.
닭장수의 모습.
지게꾼이 피곤한지 낮잠을 자고 있다.
노파가 목화에서 씨를 빼내고 있다.
선성 낚시를 즐기는 모습.
절구질를 하는 어느 피폐한 집의 여인. 어깨가 무겁게 보인다.
젊은 새댁이 아이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여인네들은 외출시 이런 장옷을 쓰고 집밖을 출입했다.
==================================
◆ 안전한나라, 편안한나라, 건강한나라를 만들기위한 안전교육 ◆
사)한국안전교육강사협회 www.koreasafe.or.kr 02)2068-0390
===================================
대한민국 안전 명강사,-안전강사,-생활안전관리사,-아동안전관리지도사
-사회복지안전강사,-펀,웃음 안전강사,-안전지도자,-리더십안전강사
관리감독자교육,안전의식고취,재미있는 안전교육.위험예지훈련 알아보기
(사) 한국안전교육강사협회 서울 구로구 구로5동 570-165
ksla05@naver.com클릭하시면 홈페이지에 바로 연결됩니다
====================================================
제1회 대한민국 인잔전교육 강사 경진대회 보기
주최 : 행정안전부 산업안전보건공단 주관 : 한국안전교육강사협회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