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Wednesday, July 25, 2012

3.1 Special Anniversary, analysis of history textbooks

http://blog.livedoor.jp/hangyoreh/archives/1070412.html

[3・1記念日特集] 韓-中-日歴史教科書分析 近現代史争点
カテゴリ社会

原文入力:2010-02-28午後07:30:27(1769字)
中国‘3・1運動’-韓国‘南京虐殺’沈黙
日本侵略 自国被害に焦点
周辺国の歴史には言及せず
キル・ユンヒョン記者

←3・1運動に参加し鍾路で万歳を叫ぶ市民たち. 写真で構成した<韓国独立運動史>(1875~1945)

長い戦争と植民支配の傷を反映するように近・現代史に渡された韓・中・日3ヶ国教科書が見せる認識格差は広く深くなっている。
初めての衝突は伝統的東アジア秩序を崩した‘日清戦争’(1894)から始まる。日本‘東京書籍’の<新しい社会歴史>は "日本と欧米列強のアジア侵略が強化される中で朝鮮に進出しなければ日本の前途も危うくなるとして清に対抗するための軍備の強化を企てていった" と戦争背景を説明している。これに比べ、中国‘人民教育出版社’は "日本が朝鮮を征服し中国を侵略して世界を制覇しようとする夢を実現するためにソウルを占領した" と戦争理由を説明した。共に‘朝鮮侵略または支配権維持’という内心には言及していない。これに比べ韓国は‘東学農民運動’を説明する項目で日清戦争にかすめるように言及して過ぎ去り、この戦争が持つ意味と余波をほとんど理解できなくさせている。
日本侵略に対する記述を見れば、韓・中は共に自国の被害と抗日運動に焦点を置くだけで周辺国の被害にはほとんど視線を向けずにいる。中国は "(日本が)中国住民と武器を置いた中国兵士を30万人以上虐殺" したとし、南京虐殺の顛末を詳細に記述しているが、朝鮮人が受けた被害に対する言及はほとんど探すことができない。韓国も慰安婦など自国民の被害に関心を傾けるだけで、南京虐殺など中国側の被害はほとんど扱っていない。日本が3・1運動の背景と影響を比較的詳しく叙述していることとは違い、中国はこれに対する言及が全くない。

←南京で日本軍は中国人民たちを即決処刑した。中国歴史教科書は日本軍の蛮行を示すこのような写真を何枚も載せている。 <ハンギョレ>資料写真

日本は自身の侵略戦争による周辺国の被害をあまねく叙述しようと努力しながらも‘仕方ない部分もあった’というような曖昧な態度を示している。‘東京書籍’の関連記述を見れば、 "朝鮮では皇民化という名の下(中略)創氏改名を強行した" , "志願兵制度が実施され朝鮮の人々も戦争に動員された" , "日本で強制労働をした朝鮮人・中国人などの労働条件は苛酷であり賃金も低く、とても大変な生活をした" と短いものの客観的に叙述している。しかし1931年の満州事変を始め戦争に暴走する日本を説明する部分では "当時内閣は満州国を承認することに反対する態度を取ったが、1932年5月総理が海軍将校らに暗殺された。以後、政党政治は幕を下ろした" という形で戦争責任を一部過激派らに回している。また大東亜共栄圏については "アジアから欧米勢力を追い出しアジア諸民族どうしで繁栄する大東亜共栄圏を唱えた" と書き、批判的な接近をしていない。

各国の立場の違いが最も明確にあらわれるのは‘韓国戦争’に対する説明だ。敗戦後、戦争から身を退いていた日本は "(韓国戦争で)日本経済が好景気を迎え経済復興が早まった" ということに焦点を合わせている。これに比べ参戦国の一つであった中国は、どちら側が先に先制攻撃をしたかは明らかにせずに "万一我が国が出兵せず、敵が鴨緑江周辺まで入ってくるように出てくるならば国内・国際の反動気炎がより一層荒々しくなる" という毛沢東の発言を紹介するなど、中国軍参戦の正当性説明に多くの紙面を割り当てている。
最後に眼につくのは‘戦後処理’を扱う韓国・日本両国の見解だ。日本はこの問題を "大部分の国が賠償を要求しなかった。日本が侵略したアジアの国々との間でも賠償の代わりに経済協力で施行された" と記述し、日本の戦後処理が正当で常識的に終えられたという点を強調した。しかし韓国はこの問題の当事国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1965年に締結された韓日協定に短く言及するだけで全体的に不十分という感じを与えている。

キル・ユンヒョン記者 charisma@hani.co.kr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07307.html 訳J.S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07307.html

중 ‘3·1운동’-한 ‘난징학살’ 침묵
등록 : 2010.02.28 19:30

3·1운동에 참여해 종로에서 만세를 부르는 시민들. 사진으로 엮은 <한국독립운동사>(1875~1945)
[3·1절 특집] 한-중-일 역사교과서 분석|근현대사 쟁점
일본침략 자국피해 초점
주변국 역사는 언급 안해


오랜 전쟁과 식민지배의 상처를 반영하듯 근·현대사로 넘어오며 한·중·일 3개국 교과서가 보여주는 인식의 격차는 넓고 깊어진다.

첫 충돌은 전통적 동아시아 질서를 허문 ‘청일전쟁’(1894)에서 시작된다. 일본 ‘도쿄서적’의 <새로운 사회 역사>는 “일본과 구미열강의 아시아 침략이 강화되는 중에 조선에 진출하지 않으면 일본의 전도도 위험해지기 때문에 청에 대항하기 위한 군비의 강화를 도모해갔다”고 전쟁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이에 견줘, 중국 ‘인민교육출판사’는 “일본이 조선을 정복하고 중국을 침략하며 세계를 제패하려는 꿈을 실현하기 위해 서울을 점령했다”고 전쟁 이유를 설명했다. 양쪽 모두 ‘조선 침략 또는 지배권 유지’라는 속내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에 견줘, 한국은 ‘동학농민운동’을 설명하는 항목에서 청일전쟁을 스치듯 언급하고 지나가, 이 전쟁이 갖는 의미와 여파를 거의 이해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

일본 침략에 대한 기술을 보면, 한·중은 모두 자국의 피해와 항일운동에 초점을 둘 뿐 주변국들의 피해에는 좀처럼 시선을 돌리지 않고 있다. 중국은 “(일본이) 중국 주민과 무기를 놓은 중국병사를 30만명 이상 학살”했다며 난징학살의 전말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지만 조선인이 받은 피해에 대한 언급은 거의 찾을 수 없다. 한국도 위안부 등 자국민의 피해에만 관심을 기울일 뿐 난징학살 등 중국 쪽의 피해는 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 일본이 3·1운동의 배경과 영향을 비교적 자세히 서술하고 있는 것과 달리, 중국은 이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난징에서 일본군은 중국 인민들을 즉결 처형했다. 중국 역사교과서는 일본군의 만행을 보여주는 이와 비슷한 사진을 여러 장 싣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일본은 자신의 침략전쟁으로 인한 주변국들의 피해를 두루 서술하려고 노력하면서도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었다’는 듯한 애매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도쿄서적’의 관련 기술을 보면, “조선에서는 황민화라는 이름 아래 (중략) 창씨개명을 밀어붙였다”, “지원병 제도가 실시돼 조선의 사람들도 전쟁에 동원되었다”, “일본에서 강제노동을 한 조선인·중국인 등의 노동조건은 가혹했고, 임금도 낮고 극히 힘든 생활을 하였다”고 짧지만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1931년 만주사변을 시작으로 전쟁으로 폭주하는 일본을 설명하는 지점에서는 “당시 내각은 만주국을 승인하는 데 반대하는 태도를 취했지만, 1932년 5월 총리가 해군장교들에게 암살당했다. 이후 정당정치는 막을 내렸다”는 식으로 전쟁 책임을 일부 과격파들에게 돌리고 있다. 또 대동아공영권에 대해서는 “아시아로부터 구미 세력을 몰아내고, 아시아 제민족끼리 번영하는 대동아공영권을 제창했다”고 적어 비판적인 접근을 하지 않았다.
각국의 입장 차이가 가장 명확히 드러나는 것은 ‘한국전쟁’에 대한 설명이다. 패전 후 전쟁에서 한발 떨어져 있던 일본은 “(조선전쟁으로) 일본 경제가 호경기를 맞아 경제부흥이 빨라졌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견줘 참전국 가운데 하나였던 중국은 어느 쪽에서 먼저 선제공격을 했는 지는 밝히지 않은 채 “만일 우리가 출병하지 않아 적들이 압록강변까지 들어오게 나온다면, 국내·국제의 반동 기염이 더욱 사나워질 것”이라는 마오쩌둥 발언을 소개하는 등 중국군 참전의 정당성 설명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눈에 띄는 것은 ‘전후 처리’를 다루는 한·일 양국의 시각이다. 일본은 이 문제를 “대부분의 나라가 배상을 요구하지 않았다. 일본이 침략한 아시아의 나라들과의 사이에서도 배상 대신 경제협력으로 시행됐다”고 기술하며 일본의 전후처리가 정당하고 상식적으로 마무리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한국은 이 문제의 당사국임에도 불구하고 1965년 체결된 한일협정만 짧게 언급하는 등 전체적으로 부실하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